시바이누(SHIB)의 가격이 올해 초 대비 약 70% 폭락한 가운데, 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는 코인베이스(Coinbase) 고래의 대량 매수 움직임이 관찰되고 있다. 최근 블록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익명의 대형 투자자는 시바이누를 약 1,391억 개 이상 매집하며 조용히 ‘바닥 매집’을 시작했다.
해당 고래는 처음 거래에서 시가 기준으로 약 69억 원(502,240달러 상당)의 가치에 해당하는 시바이누 419억 개를 코인베이스에서 이체했다. 그리고 몇 시간 뒤, 또 다른 거래를 통해 972억 개의 토큰을 추가적으로 확보했으며, 이는 약 160억 원(1,150,000달러 상당)으로 추정된다. 두 거래를 합친 매수 규모는 총 1,391억 5,024만 토큰으로, 현 시세로 계산할 시 약 227억 원(1,636,406달러 상당)에 이른다.
현재 시바이누는 $0.0000118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지난해 12월의 고점과 비교해 거의 70% 하락한 상태이다. 그러나 이 고래가 매수한 가격대에서 토큰이 회복된다면, 향후 $0.000018~$0.000020에 도달했을 때의 매수 가치는 약 344억에서 372억 원(2.5백만에서 2.7백만 달러)으로 급증할 가능성이 높다. 이는 단일 거래로 최대 약 117억 원의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시장에서는 시바이누의 낮은 유동성과 반복된 하락세로 인해 많은 개인 투자자들이 이 토큰을 ‘무가치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례처럼 고래 투자자들은 반대로 이 지점을 저가 매수의 기회로 보고 대규모로 물량을 매집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고래의 행보가 향후 시세 반등의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며, 기관 투자자나 대규모 개인 투자자들에게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시바이누는 밈코인 중에서 가장 유명한 프로젝트로, 커뮤니티 기반의 가격 지지력이 상대적으로 높다. 이어서 하반기에 시장 반등 기대감이 커진다면, 고래들의 누적 매수가 현실화되며 현재 ‘투자 쓰레기’로 여겨지던 시바이누가 연말에는 ‘저가 매수 대명사’로 자리 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러한 변화는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장에서의 관심도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