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의 셧다운 우려가 솔라나(SOL) 기반 상장지수펀드(ETF) 승인이 지연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본적으로 올 10월 내로 승인이 예상되지만, 예산 협상이 실패할 경우 일정이 무기한 연기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최근 몇 개월 동안 주요 자산운용사들, 즉 프랭클린 템플턴, 피델리티, 코인셰어스, 비트와이즈, 그레이스케일, 반에크, 캐너리캐피탈은 솔라나의 현물 ETF 출시를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변경된 규정에 맞춰 S-1 서류를 제출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 포함된 ‘스테이킹’ 옵션에 대한 언급은 이러한 노력이 더욱 주목받게 하고 있으며, 시장의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미국 의회가 새로운 회계연도 예산안에 합의하지 못해 셧다운 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 SEC 측에서도 “정부가 업무를 중단할 경우 S-1 서류 등 신규 등록 서류의 신속한 심사가 이루어질 수 없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셧다운이 실제로 발생하면 직원들이 일시적으로 해고되며, 암호화폐 ETF는 ‘필수 업무’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심사가 정지될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셧다운에 직면할 경우 솔라나 ETF의 승인이 최소 몇 주 이상 지연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노바디우스 웰스 매니지먼트의 네이트 제라치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에서 “세 개의 발행사가 다음 주를 승인 시점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셧다운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블룸버그의 ETF 애널리스트 제임스 세이퍼트도 “시장 상황이 매우 불안정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SEC는 최근 에이다(ADA), 리플(XRP), 솔라나(SOL), 라이트코인(LTC), 도지코인(DOGE) ETF 발행사에 대해 서류 제출 방식 변경을 통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전에는 섹션 19b-4 규정에 따라 ETF 상장을 진행했지만, 현재는 새로운 ‘일반 상장 기준’의 도입으로 이 절차가 불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SEC는 기존 서류의 자발적 철회를 요청했으며, 일부 기업들은 이를 곧 시작할 계획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새로운 기준 하에서 검토가 얼마나 신속하게 이루어질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이러한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시장 분위기는 여전히 낙관적이다. 블룸버그의 에릭 발츄나스 ETF 애널리스트는 “알트코인 ETF 승인 가능성은 이제 거의 100%에 가까워졌다”며 긍정적인 전망을 제기했다. 그러나 정부 셧다운이라는 돌발 변수가 현실화될 경우, 관련 행정 절차가 정지되며 시장의 기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는 상존한다. 셧다운 리스크가 지속되는 한, 솔라나 기반 ETF의 미래는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