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7개국(G7) 재무장관들이 대러시아 압박 강화를 위해 러시아산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에 대해 제재를 단행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들은 1일(현지시간) 열린 화상 회의 후 발표한 공동 성명에서 “우크라이나에 전쟁을 종식시키고 지속적인 방어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대러 압박을 강화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번 성명에서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에도 러시아산 석유 구매를 늘리고 있는 국가들과 우회 수출을 조장하는 국가들을 표적으로 삼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러시아의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을 반영한 조치로, 특정 국가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중국과 인도가 주요 대상으로 지목되고 있다. 이 두 국가는 2022년 2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의 원유 가격이 하락하자 수입을 늘려왔고, 서방 국가들은 이를 러시아가 전쟁을 지속할 수 있는 자금을 제공하는 행동으로 비판하고 있다.
재무장관들은 관세 부과와 수출입 차산 등 무역 조치를 통해 러시아로 유입되는 수익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러시아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그들은 “탄화수소 수입을 포함해 아직 잔존하는 대러 수입을 단계적으로 줄이기 위해 구체적인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우크라이나에 대한 재정 지원도 확대하기로 결정했으며, 이는 러시아의 동결 자산을 추가로 활용하는 방안도 포함된다.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의 회복력을 높이고 러시아의 전쟁 수행 능력을 severely 손상시키는 조치를 위한 국제적인 협력의 필요성을 언급하며, 다양한 선택지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G7 국가 내에는 약 3000억 유로에 달하는 러시아 중앙은행의 자산이 동결되어 있어, 그 활용 방안에 대한 협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각국의 법적 체계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질 것이며, 오는 15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IMF 및 세계은행 연차총회에서 추가 논의가 진행될 계획이다. G7 재무장관들은 우크라이나 문제 해결을 위해 이러한 조치들이 시급하게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