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정부가 국민 비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규제를 도입했다. 이제 잉글랜드의 대형 슈퍼마켓 및 주요 상점, 그리고 온라인 유통 채널에서는 과자, 사탕, 탄산음료 등 비만을 유발할 수 있는 정크푸드에 대한 할인 판매가 전면 금지된다. 이 조치는 “1+1” 방식의 할인이나 묶음 판매를 금지하며, 외식 업소에서는 설탕이 첨가된 음료의 무제한 리필 서비스도 금지된다.
영국 보건당국은 이번 조치가 비만 예방, 특히 아동의 건강 증진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보건당국은 “비만은 아동의 건강한 출발을 빼앗고, 평생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켜 국민보건서비스(NHS)에 막대한 부담을 준다”고 경고했다. 정부가 고시한 비만 유발 식품 목록에는 결과적으로 탄산음료와 레모네이드 같은 설탕 음료, 과자류, 초콜릿, 사탕, 아이스크림, 케이크, 페이스트리, 일부 냉동 피자 등이 포함된다. 더욱이 내년 1월부터는 이러한 품목의 온라인 광고가 금지될 예정이며, 오후 9시 이전의 TV 광고도 제한된다.
이 정책은 원래 2021년 당시 보리스 존슨 총리에 의해 제안되었으나, 생활비 상승과 같은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시행이 연기되어 오다가 최근 드디어 시행에 들어갔다. 그레그 펠 영국 공중보건이사협회 회장은 “조치가 늦게 시행되었지만 환영할 만한 일”이라고 평가하면서도 비만 문제 해결에는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비만이 사회적 불평등을 exacerbate 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라는 우려를 나타냈다.
이에 따라 관련 업계 또한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있다. 테스코와 세인즈버리 같은 대형 유통사들은 이미 자체적으로 관련된 판촉 제한을 시행 중이다. 영국소매협회(BRC)는 “대다수의 회원사가 새로운 규정을 준수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더 건강한 선택을 할 수 있도록 제품 재구성, 열량 정보 제공, 1회 제공량 조정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추가적으로, 웨일스와 스코틀랜드 또한 비슷한 규제를 도입할 계획을 밝혔으며, 이는 영국 전체에서 비만율이 최근 수십 년간 급증했음을 반영한 조치로 볼 수 있다. 현재 잉글랜드에서는 성인 인구의 4명 중 1명, 초등학교 6학년생의 5명 중 1명이 비만으로 분류되고 있어, 건강한 생활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