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가 인공지능(AI) 관련 기술주의 호조에 힘입어 5거래일 연속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그러나 3분기 동안 사상 최대 차량 인도량을 기록한 테슬라는 오히려 주가가 5% 이상 하락하는 반전의 상황을 맞았다.
2일(현지시간) S&P500 지수는 4.15포인트(0.06%) 상승한 6715.35에, 나스닥 지수는 88.89포인트(0.39%) 오른 2만2844.05로 거래를 마쳤다. 다우 산업지수도 78.62포인트(0.17%) 상승해 4만6519.72를 기록하며 주요 3대 지수가 모두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과 주요 경제지표 발표 지연이라는 부담 속에서도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은 강세장을 견인하고 있다.
특히 이 날의 가장 큰 관심사는 테슬라였다. 테슬라는 3분기 차량 인도량이 예상치인 44만대에 비해 크게 증가한 49만7099대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 소식에 테슬라 주가는 장 초반 한때 470달러로 오르는 등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지만 곧 내림세로 돌아서면서 최종적으로 5.11% 하락하며 거래를 마감했다.
테슬라의 주가 급락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는 ‘조삼모사’적 수요 당겨오기 현상이 지적된다. 지난 9월 30일로 종료된 7500달러의 전기차 세금 공제를 받기 위해 소비자들이 3분기에 차량 구매를 서둘렀고, 이는 4분기의 판매량 감소로 이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CFRA의 애널리스트 개럿 넬슨은 “발표된 실적은 인상적이지만,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라며 “보조금이 없는 미국 시장에서의 수요와 새로운 모델의 부족이 테슬라의 수익성에 큰 변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유럽 시장의 부진 또한 투자자 신뢰를 약화시키고 있다. 유럽자동차제조사협회(ACEA)의 보고서에 따르면, 테슬라의 유럽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22.5% 감소하면서 시장 점유율은 1.5%까지 하락했다. BYD와 같은 중국 브랜드의 급성장과 BMW 등 전통적인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의 서상영 부문장은 “최근 급등한 자율주행(FSD) 기술에 대한 낙관론이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으므로, 추가 상승을 위한 모멘텀 부재가 주가에 부담을 준다”며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수요 감소를 상쇄하기 위해 가격 인하를 단행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마진 우려도 커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와 같이, 테슬라는 3분기 동안 기록적인 인도량을 달성했지만, 전기차 세금 혜택의 종료와 유럽 시장에서의 경쟁 심화 등 복합적인 요소가 작용하면서 주가 하락을 불러왔다. 이러한 상황은 앞으로 테슬라의 성장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