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파생시장에 39조 원 유입…선물 및 ETF 옵션에 대한 공격적 투자 증가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 파생상품 시장에서 긍정적인 시그널이 감지되고 있다. 특히 10월 들어 선물 매수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의 장기 상승에 대한 확신을 키우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인 크립토퀀트(CryptoQuant)의 전문가 J.A. 마르툰은 10월 비트코인 선물 시장의 매수량이 매도량을 약 25억 원, 즉 약 2조 5,020억 원 이상 초과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바이낸스 거래소의 순테이커(Taker Net) 수치가 상향세를 보이고 있음을 강조하며, “선물 매수자들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진입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처럼 시장의 낙관적 전망은 선물 시장에 국한되지 않는다. 비트코인 ETF 옵션 시장 또한 폭발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특히 블랙록(BlackRock)의 현물 ETF인 IBIT의 미결제 약정이 287억 달러, 즉 약 39조 8,930억 원에 이르면서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한층 높이고 있다. IBIT를 포함한 몇몇 ETF는 등록 후 옵션 상품이 급증하며, 파생시장에서의 전략적 거래가 활성화되는 모습이다.

또한, CME 비트코인 선물 시장 내 11만 달러, 즉 약 1억 5,290만 원에서 형성된 가격 갭(Gap)은 여전히 미충족 상태로 남아 있어 시장 참가자들의 매수 심리를 자극하고 있다. 이 가격 갭은 과거 고점 이후의 시장 조정 등으로 생긴 가격 공백으로, 일반적으로 차익 실현 과정에서 재차 채워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번 사이클에서는 오히려 시장이 이 구간으로 재진입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선물 및 옵션 거래 증가와 가격 상승 기대감의 융합으로 비트코인 시장은 점차 공격적인 롱 포지션 취지가 뚜렷해지고 있다. 더불어 다가오는 미국 대선과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암호화폐 친화적 정책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현재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격인 6만 9,000달러, 즉 약 9,591만 원을 목전에 두고 있다. 이 강세 흐름이 앞으로도 지속될지가 주목받고 있으며, 주요 경제 지표 및 정책 발표, ETF 시장의 자금 유입 패턴에 크게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 파생상품 시장의 강세 이면에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들이 얽혀 있다는 점이 중요하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