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ETH)이 최근 10월에 9% 가까이 상승하며 저조한 시장 분위기를 뒤엎고 있다. 지금 시장의 초점은 이더리움 가격이 5,200달러(약 7,228만 원)를 돌파할 수 있을지가 되었다. 여러 분석가들은 이 중요한 가격대를 넘어설 경우, 이더리움이 역사상 가장 빠른 속도로 7,600달러(약 1억 584만 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알프랙탈(Alphractal)의 창립자이자 애널리스트인 주앙 웨드슨(Joao Wedson)은 “이더리움이 5,100달러(약 7,089만 원)를 넘기면 단기적으로 4,700달러(약 6,533만 원)까지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이는 오히려 건강한 되돌림”이라며 중장기적으로 7,000~7,600달러(약 9,730만~1억 584만 원)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강조했다. 그는 특히 5,200달러를 돌파한 이후 향후 몇 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주요 상승세가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하였다.
시장 분석가 테드 필로우스(Ted Pillows)도 비슷한 의견을 내놓았다. 그는 “현재 4,500달러(약 6,255만 원)가 저항선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 수준을 탈환하면 기세가 붙어 4,700~4,750달러(약 6,533만~6,603만 원)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긍정적인 가격 전망은 이더리움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회복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최근 이더리움 ETF에 기관 자금의 유입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 크립토 데이터 플랫폼 소소밸류(SoSoValue)에 따르면, 하루 동안 스팟 이더리움 ETF의 순유입액이 3억 710만 달러(약 4,268억 원)에 달했다. 이 중 블랙록이 1억 7,710만 달러(약 2,464억 원)를 단독으로 매입하여 절반 이상을 차지했으며, 피델리티의 FETH와 비트와이즈 ETHW도 각각 6,071만 달러(약 844억 원)와 4,647만 달러(약 646억 원)를 유치하였다. 그레이스케일 ETF도 같은 날 1,200만 달러(약 167억 원)를 조달하며, 이는 시장의 신뢰 회복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수치로 해석된다.
또한 이더리움의 공급 부족 우려는 가격 상승에 더욱 힘을 실어주고 있다. 주요 중앙화 거래소에서 이더리움의 순유출이 유입을 앞지르면서 공급 균형이 악화되고 있다. 거래소들이 이제 더 이상 ETH를 축적할 수 없는 상황에서 가용 물량의 감소가 강한 매수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는 시장에서 ‘희소성 프리미엄’을 발휘하는 또 하나의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적 분석, 기관 자금의 유입, 공급 불균형 세 가지 요소가 결합하면서, 이더리움이 단기간 내 역사적인 가격 상승세를 기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투자자들의 시선은 현재 5,200달러를 넘길 수 있을지에 집중되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매크로 경제적 요소들이 상존하는 가운데 이더리움의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