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파이네트워크(Pi Network)의 공동 창립자 니콜라스 코칼리스(Nicolas Kokkalis)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활동에 대한 논란이 커지면서 해킹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pi 블록체인에서 기능 업데이트가 발표되며 커뮤니티가 큰 관심을 보이긴 했지만, 해당 정보가 공식 계정이 아닌 출처에서 확산된 것에 코칼리스가 가담하면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파이네트워크는 최근 테스트넷에서 탈중앙화 거래소(DEX)와 자동화 마켓 메이커(AMM) 기반 유동성 풀 도입을 알렸다. 이는 사용자가 디지털 자산 생태계에서 디파이(DeFi) 개념을 이해하고, 토큰 스왑을 실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중요한 기능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발표에 사용자들은 열광적 반응을 보였고, 관련 정보는 빠르게 소셜 미디어를 통해 퍼져 나갔다.
그러나 코칼리스가 공식 계정이 아닌 제3자의 출처에서 게시된 정보를 리포스팅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일각에서는 그의 SNS 계정이 해킹당했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그가 피드에서 공유한 정보의 출처가 프로젝트와는 무관한 것으로 드러나면서, 커뮤니티 내 신뢰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파이네트워크 이용자들 사이에 큰 혼란을 일으켰고, 전문가들은 유저들에게 “검증되지 않은 정보에 주의하고, 공식 계정 및 팀의 신뢰할 수 있는 채널을 통해 정보를 확인하라”고 경고하고 있다.
한편, 파이코인의 네이티브 토큰인 PI는 이러한 기술적 발전과는 반대로 최근 1개월 사이 약 25% 하락해 현재 약 0.26달러(360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올 초 암호화폐 강세장에서 주목받았던 PI 토큰은 지속되는 매도 압력과 대량 잠금 해제 일정에 발목이 잡히며, 가격 반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장 정보 플랫폼 코인게코(CoinGecko)에 따르면, 거래소 내에 보유된 토큰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30일 내 수백만 개의 토큰이 순차적으로 풀릴 예정이어서 이는 매도 압력을 더욱 가중시킬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이런 상황은 장기 보유자들에게도 실망감을 주고 있으며, 파이네트워크의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있다.
파이네트워크는 다양한 실험적 기능을 도입하며 넓은 사용자 기반을 활용하고자 하지만, 올바른 정보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측면에서의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해킹 의혹과 SNS 활동 논란이 겹친 이번 사태는 프로젝트에 대한 신뢰를 다시금 시험하는 중요한 고비가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