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주요 저항선을 넘어서는 강세를 보이며, 사상 최고가인 13만 달러(약 1억 8,070만 원) 돌파에 가까워지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 부근에서 생긴 강력한 수요를 바탕으로 급등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하락 추세를 완전히 벗어난 모습이다. 이러한 흐름은 기술적 분석과 투자 심리 모두를 강세 신호로 나타내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6,000~11만 8,000달러(약 1억 6,124만~1억 6,402만 원) 구간에서 새로운 지지선이 자리잡고 있으며, 이는 매수 유동성이 크게 집결한 12만 4,000~12만 5,000달러(약 1억 7,236만~1억 7,374만 원)에 도달할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반면에, 일부 기술 지표들은 단기 조정을 예고하고 있어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대처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특히 11만 1,000~11만 2,000달러(약 1억 5,429만~1억 5,568만 원) 구간에서의 조정이 발생할 경우, 매수세가 재유입되어 반등 시도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4시간 차트로 확인해본 결과, 강한 상승세 이후에도 미보정 수요 구역이 존재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11만 3,000~11만 5,000달러(약 1억 5,707만~1억 5,985만 원) 구간은 매수 전략을 세우기에 유리한 구역으로 평가된다. 현재의 상승 모멘텀을 유지할 수만 있다면, 12만 4,000달러 저항선을 넘어서며 13만 달러를 목표로 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심리 면에서는 긍정적인 요소들이 나타나고 있다. 바이낸스에서의 비트코인 미결제약정이 사상 최고치인 143억 달러(약 19조 8,770억 원)로 급증했으며, 이는 단순한 숏커버링이 아닌 신규 매수 유입의 결과로 알려져 있다. 기관 투자자 및 개인들도 이 상승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미결제약정의 급증이 항상 긍정적인 신호는 아니다. 과도한 레버리지가 시장의 급락을 촉발할 위험이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가격이 일정 구간에서 정체될 경우, 청산이 동반된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따라서 시장에서 비트코인이 13만 달러를 돌파하는 과정에서 미결제약정의 안정화 여부도 주목해야 할 요소 중 하나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비트코인은 구조적으로 강세 흐름에 있으며 기술적, 심리적 요소 모두 상방 확장을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주요 지지와 저항 구간에서의 가격 움직임에 면밀한 주시가 필요하다. 비트코인의 상승세가 이어질지, 아니면 조정이 발생할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