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사상 최고가를 기록하게 된 주된 원인은 기업들의 대규모 매수보다 비트코인 ETF에 대한 막대한 자금 유입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지난 주,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매입한 비트코인 트레저리 컴퍼니들의 누적 매수 규모는 약 12억 달러(약 1조 6,680억 원)에 달했지만, ETF에 들어온 자금 흐름이 오히려 가격 급등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했다.
비트코인의 가격은 주말을 앞두고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며 토요일 12만 5,000달러(약 1억 7,375만 원)을 넘어서는 기염을 토했다. 이번 상승은 미국 달러의 가치가 약 50년 중 최악의 연간 성과를 기록한 것과 맞물려 더욱 주목받는 상황이다.
특히 일본의 메타플래닛(Metaplanet)은 10월 1일 하루에만 5,258BTC를 추가로 매수했으며, 이 외에도 비트코인 재무 보유 기업들이 지난 한 주 동안 새롭게 수집한 BTC는 총 6,702개에 달한다. 이러한 투자는 이들 기업이 비트코인을 장기적인 가치 저장 수단으로 바라보는 향후 전망을 반영한다.
반면 이날 동안 미국의 현물 비트코인 ETF는 총 32억 4,000만 달러(약 4조 5,036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ETF 출시 이후 두 번째로 큰 주간 유입량을 달성했다. 이는 2024년 11월의 최고 기록에 육박하는 규모로,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ETF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것을 여실히 나타낸다.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재선 가능성,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 그리고 현재 증시에 대한 불확실성이 기관 자금을 암호화폐 ETF로 유입시키고 있는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ETF를 통해 비트코인에 간접적인 노출을 시도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면서, 이로 인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기존 비트코인 트레저리 컴퍼니들의 매수보다 훨씬 강력하다는 평가다.
결론적으로, 이번 비트코인의 랠리는 단순한 매집이 아닌, 제도권 자금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수급 구조에 의한 결과로 분석된다. ETF 기반의 수요가 계속해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비트코인 가격의 중장기적인 상승 모멘텀도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