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가안보국(NSA)이 암호화폐 생태계를 통제하려는 움직임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비트코인(BTC) 핵심 개발자인 피터 토드(Peter Todd)는 NSA가 ‘양자내성 암호’라는 명목 아래 암호화 기술의 보안 수준을 약화시키려 하고 있다는 점을 경고했다. 그는 이를 통해 NSA가 다시 한번 암호화폐의 기초인 강력한 암호 기술을 무력화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토드는 자신의 SNS를 통해 NSA가 기존의 전통적 암호 방식과 양자내성 알고리즘을 병용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아닌, 순수 양자 암호체계만을 고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러한 접근이 마치 “자동차 안전벨트를 없애는 것”과 같으며, 불특정한 백도어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일반적으로 보안 업계는 불확실한 미래를 고려해 다양한 알고리즘을 동시에 적용하는 전략을 선호하지만, NSA가 제안한 방식은 특정 취약점이 발생할 경우 직접적인 방어책이 없어 최악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피터 토드는 이러한 양자암호 체계 도입이 NSA가 암호 표준을 조작하거나 감청할 수 있는 경로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NSA가 과거의 ‘클리퍼 칩’ 논란처럼 외부 위협을 주장하며 통제 권한을 확대하려는 의도가 드러난다고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인터넷 표준화 기구인 인터넷엔지니어링태스크포스(IETF) 내에서 NSA에 유리한 규칙 변경이 논의 중이라는 주장이 퍼지고 있다. 일명 ‘MODPOD’라는 새로운 제안이 반대 의견을 무력화하고, 형식상 이견 제기를 어렵게 만드는 구조를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러한 변화가 암호 표준을 공개적인 검토 없이 은밀히 무력화할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하고 있다.
암호화폐는 중앙이 통제하지 않는 신뢰의 기반 위에 존재하기 때문에, 강력한 암호 기술이 필수적이다. 토드는 “NSA가 다시 움직이고 있다”며, 업계와 커뮤니티가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을 하지 않는다면 암호 보안의 근본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IETF와 같은 국제 표준기구의 운영 투명성을 강화하고, 다각적인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한목소리로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