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클 세일러가 이끄는 전략 벤처 기업 ‘스트래터지(Strategy)’가 지난 3분기 비트코인(BTC) 보유 자산으로부터 약 5,421억 원(3억 9,000만 달러)의 공정 가치 평가 이익을 실현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새로운 비트코인을 매입하지 않고도 달성한 성과로, 비트코인 가격 상승이 자산 평가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낸다.
미국 금융감독당국(SEC)에 제출된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스트래터지는 3분기 마지막 시점까지 총 64만 31 BTC를 평균 매입 단가 약 7만 4,000달러(약 1억 287만 원)에 보유하고 있었다. 이 기간에 비트코인 시장 가격이 11만 4,000달러(약 1억 5,846만 원)를 초과하면서, 보유 자산의 공정 가치는 약 10조 1,470억 원(약 73억 달러)으로 급증했다. 특히, 스트래터지는 그 주에 추가적인 비트코인 매입을 진행하지 않았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이러한 수익 뒤에는 여전히 상당한 리스크가 도사리고 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의 극심한 변동성을 주요 리스크로 지적하며, 지난 1년 동안 비트코인이 6만 달러(약 8,340만 원)에서 12만 달러(약 1억 6,680만 원)까지 급변한 시장 상황을 따라가는 것이 더욱 큰 도전임을 설명했다. 게다가, 비트코인에 대한 자산 집중 구조로 인해 시장이 급락할 경우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점도 우려사항으로 지적되었다. 특히, 유동성 확보, 부채 상환, 배당금 지급 등의 필요로 인해 비트코인을 손실가로 처분해야 할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스트래터지는 현재 약 11조 1,200억 원(80억 달러)의 부채를 안고 있으며, 매년 수백억 원의 배당금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재정적 부담으로 인해 안정적인 자금 조달과 비트코인 시장의 지속적인 상승세가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이번 분기 동안 스트래터지는 약 6조 9,500억 원(50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본을 조달한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비트코인 중심의 전략을 지속하려는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이다. 그러나 이러한 자본 조달이 비트코인 가격 하락 시 기업 전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 또한 커질 것이라는 점은 경계해야 할 부분이다.
결론적으로, 스트래터지가 기록한 ‘판매 없이 창출된 4조 원 규모의 평가 이익’은 인상적이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시장 리스크와 재정적 불안 요소는 투자자들이 충분히 고려해야 할 중대한 사항이다. 과연 비트코인 중심의 전략이 가져올 미래가 어떨지는 여전히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