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12만6천 달러 상승세로 ‘디지털 금’ 입지 강화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의 가격이 최근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투자자들로부터 ‘디지털 금’으로서의 신뢰를 다시 한 번 얻고 있다. 이러한 상승은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이 심화하고 있는 가운데, 대체 자산에 대한 선호가 뚜렷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현지 시간 10월 6일, 미국의 주요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오후 1시 20분 기준으로 24시간 전보다 2.26% 상승해 12만5,926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이는 전날 기록한 12만5천 달러의 종전 최고가를 경신한 것으로, 시장 개장과 함께 본격적인 상승세가 강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비트코인이 인플레이션 및 통화 가치 하락에 대한 헤지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비트코인의 급등 배경은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의 확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디베이스먼트 트레이드는 달러, 엔, 유로와 같은 전통적인 법정통화의 구매력이 약화될 가능성에 대비해 금, 은, 가상화폐 등의 대체 자산에 대한 투자 움직임을 의미한다. 최근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의 심각한 부채 증가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주요 통화의 가치가 흔들리고 있으며, 이러한 불안 심리는 자산 다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엔화 가치가 최근 급락했다. 자민당 총재 선거에서 극심한 경기부양 기조를 유지해온 다카이치 사나에 전 경제안보담당상이 차기 총리로 유력시되면서 아베노믹스 부활에 대한 기대감이 새롭게 확산되고 있다. 반면 미국에서는 연방정부 셧다운 상황이 지속되면서 달러화에 대한 하락 압력이 가중되고 있으며, 유로화 또한 프랑스의 정치적 불안정으로 불안한 모습이다.

이와 같은 주요국 통화에 대한 신뢰 저하로 인해 금과 가상화폐 같은 실물 기반 또는 희소성이 있는 자산으로의 관심이 옮겨가고 있다. 실제로 금값은 이날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으며, 이더리움 역시 4% 이상 상승해 4,723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과거의 투기적 자산으로서 평가를 넘어, 이제는 금과 더불어 안전자산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러한 비트코인의 상승세는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 주요국의 부채 문제와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는 한, 투자자들은 신흥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트코인이 점차 제도권 내 금융 상품으로 편입되고 있는 상황에서 ‘디지털 금’에 대한 관심 또한 장기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비트코인이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는 상황 속에서, 그 입지는 더욱 확고해지고 있으며, 이는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과 대체 자산에 대한 선호가 더해진 결과라 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