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생리의학상, ‘말초 면역 관용’ 원리 발견한 세 과학자에게 돌아가

[email protected]



2025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미국 시애틀의 시스템생물학연구소 소속의 매리 브랑코,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소노마바이오테라퓨틱스에서 활동 중인 프레드 람스델, 그리고 일본 오사카대학교의 사카구치 시몬 세 명에게 수여되었다. 이들은 인체의 면역체계가 자가면역 질환을 방지하는 중요한 메커니즘인 ‘말초 면역 관용’ 작동 원리를 규명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게 되었다.

노벨위원회의 발표에서는 이들 과학자들이 면역체계의 기능과 우리가 자가면역 질환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할 수 있는 이유에 대해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올레 캄페 위원장은 “이들의 연구 결과는 면역체계가 얼마나 정교하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핵심적이었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자가면역질환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면역 관용 기작을 이해하는 것이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말초 면역 관용’이란 면역세포가 자가 조직을 잘못 인식해 공격하지 않도록 하는 면역 체계의 타협 메커니즘이다. 이 원리를 통해 면역세포는 자가 항원을 인식하고, 이를 부적절한 대상으로 삼지 않도록 조절된다. 연구진은 이러한 작용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전을 통해 면역학 분야의 중요한 발견을 이뤄낸 것이다.

이로 인해 우리는 자가면역 질환의 메커니즘을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는 향후 자가면역 질환 예방 및 치료에 있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전망이다. 각기 다른 연구 기관에서 활동 중인 이들은 여러 가지 방법론과 연구 기법을 사용하여 면역과 관련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가고 있다.

노벨 생리의학상의 수상은 또한 다른 과학자들에게도 큰 격려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가 쌓여가면서 향후 의료 및 바이오 기술 분야에서 혁신적인 발전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면역학의 진행은 암 치료, 예방백신 개발 등 다양한 의료 분야에 응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이번 수상이 단순히 개인의 업적을 넘어 인류 건강에 기여하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는 점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