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자신이 운영하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트루스소셜을 통해 오는 11월 1일부터 수입산 중·대형 트럭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의 자동차 및 트럭 수입 관련 관세 정책이 더욱 강화되는 상황을 반영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달 말에도 대형 트럭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을 예고했으며, 처음에는 시행 시점을 10월 초기로 정했으나 이번 발표에 따라 한 달 정도 늦춰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고율 관세 부과의 의지는 더욱 확고히 하고 있는 듯하다.
이번 조치는 미국 상무부가 지난 4월부터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중·대형 트럭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에 따른 후속 조치로 해석된다. 이 조사는 미국의 트럭 산업 보호뿐만 아니라, 국가의 물류 시스템을 안정화하기 위한 목적을 지닌다.
미국 정부는 이미 지난 수년 동안 50%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 철강과 알루미늄, 25%의 관세가 부과되는 승용차 및 부품에 이어 이번 중·대형 트럭에 대한 고율 관세를 도입함으로써 통상 정책에 있어 보다 보호무역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가적으로, 중·대형 트럭 외에도 반도체, 의약품, 가구 등 다양한 품목에 대한 관세를 확대하여 전방위적인 보호무역 강화 기조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이는 미국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해외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보호무역적 조치가 국내 산업을 보호하는 데 일정 부분 기여할 수 있지만, 해외 거래 국가들과의 무역 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 또한 깊이 고려해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특히, 수입 대체를 통한 산업 보호 정책이 단기적인 반응을 초래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세계 경제와의 관계를 어렵게 만드는 악순환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중·대형 트럭에 대한 관세 부과 계획은 미국의 보호무역 정책을 재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로 인해 향후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가 예상된다. 따라서 기업과 소비자는 이러한 정책 변화에 따른 시장 동향을 면밀히 주시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