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무장 정파 하마스 간의 평화 협상이 조만간 합의에 이를 것이라고 밝혔다. 백악관에서 열린 행정명령 서명식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변하며 트럼프 대통령은 “굉장한 진전이 있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하마스가 중요한 문제에 대해 동의했으며,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 또한 협상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고 덧붙였다.
이 협상은 이집트의 샤름 엘 셰이크에서 이집트, 카타르, 미국의 중재 하에 진행되고 있다. 이집트 국영 알카헤라 뉴스에 따르면, 이번 회담은 긍정적인 분위기 속에서 종료되었으며, 7일에는 추가 회담이 예정되어 있다고 보도했다. 이번 협상은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가자지구 평화구상’을 바탕으로 진행되며, 이는 20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자지구 평화구상에 따르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합의하면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인질을 석방하고,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구금자를 석방함으로써 종전 절차를 시작하게 된다. 또한 하마스는 무장 해제와 민간 정부 수립을 요구받고 있다. 양측 협상단은 인질 및 구금자 석방을 위한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마련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하마스 측은 인질 석방에 관해 입장을 밝혔으며,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에 대한 규모와 시한에 대해서도 의견을 표명했다. 그러나 이스라엘이 영구적인 휴전 및 포괄적인 철수를 이행할지에 대한 우려가 여전히 남아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것이라며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지만, 핵심 쟁점인 하마스의 무장 해제는 큰 장애물로 남아 있다.
하마스는 이스라엘의 점령이 완전히 종료되고 팔레스타인 국가가 설립되지 않는 한 무장 해제를 실행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협상은 복잡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으며,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트럼프의 평화구상이 “이 비극적인 분쟁을 종식할 절호의 기회”라며 양측에 합의를 촉구하고 있다.
이번 협상은 중동 지역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로,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양쪽 모두의 협력이 절실한 상황이다. 앞으로 진행될 회담들이 어떤 결실을 맺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