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바이누(SHIB)는 약 1,000억 개의 토큰이 거래소로 유입되며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입이 거래소 지갑에서 발생했다는 점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불안감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장기 보유에 대한 의지가 아닌 대규모 매도의 신호가 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인 크립토퀀트의 분석에 따르면, 시바이누의 거래소 보유량은 현재 약 85.1조 토큰으로 급증했다. 이러한 과거 패턴은 일반적으로 매도 압력의 증가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주요 거래소에 대량의 토큰이 유입될 경우, 이는 투매의 준비 단계로 해석될 가능성이 크다. 투자자들이 장기간 보유 의도로 토큰을 보관할 경우, 거래소가 아닌 탈중앙화 지갑이나 콜드월렛에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기 때문이다.
SHIB의 가격 차트 역시 이러한 우려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최근 잠시 반등이 있었지만, 여전히 하락형 삼각 패턴 안에서 움직이고 있으며, 100일 이동평균선(EMA)도 돌파하지 못한 상황이다. 매수세가 지속적으로 저항선을 넘어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은 추가적인 상승 가능성보다 조정 위험이 더 크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현재 SHIB의 거래 가격은 약 0.0000127달러(약 1.8원)로, 0.0000135달러(약 1.9원)선을 돌파하지 못할 경우 구조적으로 하락 압박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락세가 지속된다면 0.0000120달러(약 1.7원) 수준까지 내려갈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증가한 거래소 유동 물량이 실제 시장에 투입될 경우, 단기 하락에 대한 방어선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전반적인 시황을 고려할 때, 시바이누가 실질적인 회복을 이루기 위해서는 거래소 보유량의 감소와 함께 토큰의 탈중앙화 지갑으로의 이전이 필요하다. 또한, 100일 EMA를 상향 돌파하고 하락형 삼각형의 상단을 뚫는 가격 모멘텀이 뒷받침되어야만 반등 신호로 간주될 수 있다.
결국, SHIB 토큰의 급증은 불안정한 위치에서 이루어진 성장으로 분석된다. 단순히 공급의 증가보다는 ‘어디로 이동했는가’가 더 중요하며, 지속 가능한 회복을 위해서는 토큰 흐름의 질적 개선이 필수적이다.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 및 수요 증가 없이는 SHIB가 다시 상승 채널에 진입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