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12만6천198달러 돌파, 핵심은 자본의 흐름이다

[email protected]



비트코인이 12만6천198달러를 넘어섰지만, 시장은 의외로 조용하다. 환호의 소리도 없고, 불꽃놀이도 없는 가운데, 거래소 대기열은 한가하다. 이번 비트코인 상승장은 다른 어느 때와는 사뭇 다른 양상을 보인다.

현재 한국은 한가위 연휴 기간이다. 사람들은 고향으로 가고 차례를 준비하며 여유로운 시간을 보내고 있지만, 반면에 뉴욕과 런던의 자본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 그들은 비트코인을 ETF, 트러스트, 파생상품으로 계속 쌓아올리고 있다. 이러한 자금 흐름은 소음이 없는 대신, 그 크기는 실로 막대하다.

새롭게 시장에 유입된 6천억 달러의 유동성 중 대다수는 기관 자금이다. 블랙록, 피델리티, 프랭클린 템플턴과 같은 거대 자산운용사들은 비트코인을 단순한 ‘상품’이 아닌 ‘자산’으로 여기고 있다. 개인 투자자들은 여전히 가격에만 집중하는 반면, 기관 투자자들은 유동성에 주목하고 있다. 이번 시장의 주도권은 이미 이 시각 차이에 의해 결정되었다.

비트코인 현물 ETF 자금은 감히 불과 2년 만에 1,680억 달러에 이르렀다. “ETF는 거품의 끝”이라는 과거의 발언은 이제 시장의 농담으로 전락했다. 지금은 기업의 재무부서가 보유하는 비트코인의 총액이 1,270억 달러를 넘어섰다. 마이클 세일러는 이제 ‘항상 앞서 나간 사람’으로 평가받고 있는 실정이다.

스테이블코인의 유통량은 현재 3,150억 달러를 초과했으나, 그에 대해 누구도 트위터에서 환호하지 않는다. 이러한 유동성은 개인의 자금이 아니라, 전문 자금과 헤지펀드 등에서 나오는 조용하지만 강력한 자원이다.

그러나 벤처캐피털 투자도 줄어들지 않았다. 변화가 있을 뿐이다. 이제는 특정 코인보다도 그에 관련된 인프라—디지털 자산 기술 기업에 더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돈은 멀리 떠난 게 아니라, 더 깊은 곳으로 들어가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는 명확히 말해준다. 기관 투자자들은 계속해서 매수하고 있기 반면, 개인 투자자들은 매도하고 있다. 애플리케이션 순위에서는 변화가 없고, 유튜브의 “떡상” 구호도 사라졌다. 대신 차트 아래에서는 ‘조용한 축적’이 계속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본래 중앙화를 거부하기 위해 탄생했지만, 그 가치를 다시 끌어올리는 것은 오히려 중앙의 자본이다. 이 아이러니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탈중앙화의 이상은 여전히 존재하지만, 자본에 의해 현실이 다시 재편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번 비트코인 상승장은 감정적이지 않고 구조적이다. 개인 투자자들은 잠시 쉬고 있고, 자본은 불철주야 일하고 있다. 이번에는 개인이 시장을 이끌지 않는다. 그들은 결국 뒤늦게 따라올 수밖에 없다.

한가위에는 달이 밝고, 시장에도 새로운 달빛이 비치고 있다. 하지만 이번 달빛은 고요하다. 고요한 달 아래에서 가장 빠르게 움직이는 것은 언제나 조용한 자본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