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서 헤이즈 “비트코인 주기 끝났다… 유동성이 시장을 지배하는 시대”

[email protected]



비트멕스의 공동 설립자인 아서 헤이즈(Arthur Hayes)는 비트코인(BTC)의 전통적인 4년 주기 이론에 대한 확고한 반대를 표명하며, 현재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를 재조명하고 있다. 그는 최근 자기가 운영하는 서브스택 ‘롱 리브 더 킹(Long Live the King)’에서 “사이클은 종료되었고, 이제 유동성이 핵심”이라고 주장하며, 현재의 강세장이 과거와는 다르게 훨씬 더 오래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헤이즈는 비트코인이 일정한 주기로 움직인다는 인식이 현재의 글로벌 유동성 환경 변화로 인해 더 이상 유효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과거 비트코인의 고점이 반감기나 채굴 보상 감소 시점과 일치했던 것과 달리, 현재는 미국과 중국의 통화 긴축기가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현재의 시장에서 이러한 전환점이 오히려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가 역환매조건부채권(RRP) 프로그램에서 약 2조 5,000억 달러(약 3,475조 원)를 회수해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있다는 점은 비트코인의 비정상적이고 장기적인 강세장을 가능하게 만드는 중요한 요소이다. 또한, 미 연준이 고물가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했으며, 올해 추가적인 금리 인하가 이미 파생상품 시장에 반영되었다는 점도 강세장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헤이즈의 해석은 암호화폐 업계에서 상반된 의견을 낳고 있다. 일부 분석가들은 과거 사이클이 반복될 가능성을 여전히 염두에 두고 있지만, 그는 과거의 패턴을 기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 경고하고 있다. 그는 “(과거에 왜 통했는지를 고민하지 않고) 자동으로 적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베테랑 트레이더인 피터 브란트(Peter Brandt)는 만약 이러한 변화가 실제라면 비트코인의 가격이 극단적인 변동성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는 또한 과거 주요 사이클에 영향을 미쳤던 미국과 중국의 신용 팽창과 긴축 사이클을 다시 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헤이즈는 2009~2013년과 2021년까지 이어진 세 번의 비트코인 주요 사이클을 되돌아보며, 당시 가격 상승이 단순한 반감기 효과가 아니라 미중의 크레딧 환경 변화와 관련이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번 사이클에서는 중국이 더 이상 하방 압력을 행사하지 않으며, 미국의 유동성 공급만으로도 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반대 의견도 적지 않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은행권의 불안정성, 인플레이션 재급등 등의 변수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다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경고하고 있다. 경제 전반의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유동성만으로 모든 시장이 지탱될 수 있을지가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헤이즈의 주장은 단순한 가격 예측을 넘어서 시장 구조의 본질을 재정의하려는 시도로 평가받고 있다. 그의 의견이 현실화된다면, 비트코인과 전체 암호화폐 시장은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장기 강세장의 시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