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 구매를 금지한 이후, 해당 칩의 수입을 차단하기 위해 세관 검사를 강화하고 있다. 영국의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근 몇 주 동안 중국 세관 당국은 전국 주요 항구에서 반도체 화물에 대한 엄격한 단속을 실시하고 있다. 이 단속은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들에게 엔비디아 칩 구매 금지 지침을 내린 이후, 이들 기업이 해당 칩 주문을 중단했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로 이루어졌다.
FT의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은 바이트댄스와 알리바바와 같은 주요 기술 기업들에게 엔비디아의 중국 전용 저사양 칩인 ‘RTX 6000D’에 대한 테스트 및 주문을 중단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이번 세관 단속은 중국 기술 기업들이 미국의 반도체에 의존하지 않고, 미국과의 AI 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중국 당국의 강한 의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전까지는 중국 세관이 관세를 지불하는 반도체 수입을 막지 않았으나, 올해 5월부터 3개월 동안 밀수된 엔비디아의 최고 사양 AI 칩은 10억 달러 이상에 해당하는 규모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정부는 지난 4월 엔비디아 H20 칩의 대중국 수출을 일시 중단했으나, 불과 3개월 만에 이를 해제하였다. 그 후 엔비디아는 중국 전용 AI 칩인 RTX 6000D를 출시했다.
중국 당국은 자국의 반도체 산업 발전을 가속화함과 동시에, 자국 기업들이 엔비디아 칩 사용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FT는 중국산 칩이 미국의 엔비디아 칩과 경쟁할 수 있는 성능 기준을 이미 달성하고 있다는 정부 고위 관계자의 판단에 따라 이번 단속이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이러한 변화들은 중국의 기술 자립과 AI 분야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반영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엔비디아 AI 칩 구매 금지와 세관 강화 조치는 국가의 기술 자주성과 AI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중대한 결정으로 보인다. 이는 향후 중국의 기술 생태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