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이더리움(ETH)의 장기적인 강세 가능성을 강조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기요사키는 최근 그의 소셜 미디어 계정을 통해 이더리움과 은을 고수익의 유망 자산으로 멘션하며 “Hot Hot Hot”이라는 강력한 기대감을 표명했다.
그는 은 가격이 온스당 50달러(약 6만 9,500원)를 넘어선 것에 주목하며, 다음 목표로 75달러(약 10만 4,250원)를 제시했다. 기요사키는 이더리움 또한 은과 마찬가지로 장기간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실물 자산 대체 투자 수단으로 평가했다.
최근 기요사키는 비트코인(BTC), 이더리움, 은, 금을 ‘부의 축적 수단’으로 소개하며 미국 달러의 가치 하락에 대비한 포트폴리오 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법정화폐에 대한 신뢰가 흔들리고 있어 현금을 보유하는 것이 손해일 수 있다”며, 디지털 자산과 실물 자산의 병행 보유를 추천하고 있다. 특히 그는 이더리움을 “투기 자산이 아닌 신뢰할 수 있는 투자 자산”이라고 단언했다.
현재 이더리움은 약 4,344.84달러(약 604만 원) 부근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소폭 조정을 받았다. 그러나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이 5,000달러(약 695만 원)를 돌파할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부 시장 분석가들은 글로벌 유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이더리움이 장기적으로 1만 달러(약 1,390만 원) 이상으로 올라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을 보유한 사람 중 약 70%가 자산을 거래소가 아닌 개인 지갑으로 이동시켰다는 점은 매도 압력보다는 장기 보유 심리가 강하다는 분석을 뒷받침한다.
또한 이더리움 개발진은 보안 및 프라이버시 강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며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다. 최근 공개된 ‘코하쿠(Kohaku) 로드맵’에 따르면, 사용자 프라이버시 보호 및 해킹 방지 기능이 크게 강화될 예정이다. 이는 이더리움의 장기 성장성을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받고 있다.
기요사키가 전반적인 디플레이션 우려 속에서도 이더리움을 유망 자산으로 지목한 배경에는 실물 자산과 정보 기반 자산군으로의 수요 이동이 있다. 미국 달러에 대한 신뢰 상실과 중앙은행의 정책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점점 디지털 및 탈중앙화 자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이더리움은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기술의 진보와 시장 수요, 개인 보유자의 증가 추세를 모두 반영하는 대표적인 코인으로 부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