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 기반의 네트워크 장비 제조업체인 TP-링크의 미국 내 영업을 제한할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TP-링크는 중국, 싱가포르, 미국 등에 본사를 두고 있는 다국적 기업으로, 최근 미국 정부의 조사에서 해당 업체가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는지를 두고 ‘초기 판단’을 내릴지 검토 중이다.
미국 정부는 TP-링크와 중국 정부 간의 연계 가능성을 조사해 왔으며, 이와 관련된 조사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와 같은 움직임은 TP-링크가 미국 내에서 무선 통신 장비를 공급하고 있는 만큼, 국가의 안보와 직결된 심각한 사안으로 여겨지고 있다. 만약 관련 조사에서 TP-링크가 미국 안보를 위협한다고 판단된다면, 해당 기업의 영업에 대한 제한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도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현재 워싱턴 정가에서는 TP-링크와 중국 정부의 관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으며, 일부 전문가들은 중국 해커들이 TP-링크의 장비를 해킹 도구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경고를 내놓고 있다. 이는 상기할 만한 문제로, 미국 내에서의 사이버 보안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가운데 해당 업체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런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간의 정상회담이 예정된 상황에서 이러한 조치가 추진되고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양국 정상은 이달 말 경주에서 열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회담을 가질 예정이며, 이러한 회담을 앞두고 서로의 입장을 강화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
최근 중국 측은 희토류 수출 통제 강화를 언급했으며, 이를 두고 미국 정부의 압박을 증가시키기 위한 조치라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양국 간의 경제적, 정치적 긴장을 더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과 중국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TP-링크와 같은 기업이 국가 안보의 중요한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는 점에서 향후 추가적인 조치가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TP-링크의 영업 제한과 더불어 향후 두 나라 간의 경제 및 무역 관계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상회담을 통한 외교적 해결책 모색이 중요한 시점에 이르고 있는 만큼, 양측의 대화와 협력이 향후 애드리스를 결정지을 중요한 요소임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