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처에서도 거부당한 연구’…30년의 노력을 통해 노벨상을 수상한 사카구치 시몬 교수

[email protected]



일본은 올해 노벨상 수상자 2명을 배출하며, 그 중 한 명인 오사카 대학의 사카구치 시몬 명예교수가 생리의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그의 연구는 30년 동안 소외받던 ‘조절 T세포’의 존재 증명에 관한 것으로, 자가면역질환과 암의 정복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사카구치 교수는 의학부 졸업 후 연구에 몰두하며, 결국 그 누구도 믿지 않았던 자신의 가설을 지키며 지속적인 연구를 이어갔습니다.

사카구치 교수는 1951년 일본 시가현에서 태어나 1976년 교토대 의학부를 졸업했습니다. 이후 그는 T세포의 공격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조절 T세포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이 세포의 역할은 과도한 면역 반응이 신체의 정상 세포를 공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이 연구는 류머티즘성 관절염, 제1형 당뇨병, 루푸스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되었습니다.

그의 연구는 우연히 발견한 한 논문에서 시작되었습니다. 태어난 지 3일 된 쥐의 흉선을 제거했을 때, 정체불명의 염증 반응이 나타났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이 결과를 통해 사카구치는 흉선에서 면역 공격을 억제하는 세포가 생성된다는 가설을 세웠고, 조절 T세포의 존재를 예견하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그는 교토대 대학원을 중퇴하고 암센터로 자리를 옮겨 연구에 매진했습니다.

1985년 그는 조절 T세포에 관한 초기 논문을 발표했지만, 그 논문은 불확실한 가설로 간주되며 큰 주목을 받지 못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의 연구를 시도했지만, 비주류 연구라는 이유로 자금 지원을 받지 못했고, 심지어 연구중 아내가 연구 조수 역할을 맡아야 했습니다. 주변의 의심에도 불구하고, 그는 “세상이 부정해도 내가 보고 있는 것이 맞다”는 신념을 가지고 실험을 계속했습니다.

결국 1995년에 발표한 논문에서, 그는 조절 T세포의 존재를 증명하거나 뒷받침할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초기에는 네이처와 같은 권위 있는 저널에서 거부당하기도 했습니다. 이후 다른 저널에 게재되어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게 되었고, 미국의 연구팀이 그의 발견을 뒷받침하는 실험을 진행하면서 주목을 받기 시작했습니다.

사카구치 교수는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조절 T세포의 역할과 관련된 연구를 이어가며, 조절 T세포와 관련된 유전자를 발견하는 등 자신의 연구를 심화해갔습니다. 마침내 그는 2023년 노벨 생리의학상의 영예를 안게 되었으며, 이로써 자신의 오랜 노력과 신념이 결실을 맺는 순간을 맞이했습니다.

그는 자신의 연구철학으로 “소심(素心)”을 언급하며, 순수한 마음으로 연구에 임해왔다고 밝혔습니다. 사카구치 교수는 기억에 남는 조언으로 “공부는 나를 납득시키기 위해 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며, 비주류로 평가받으면서도 자신의 길을 묵묵히 걸어가는 자세를 많은 이들에게 알리고 있습니다.

그의 고난의 역정은 연구의 중요성과 과학의 가치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보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