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플(XRP)의 최근 급격한 하락은 7억 달러(약 9,730억 원) 규모의 레버리지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 큰 충격을 주었다. XRP는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에서 한때 1.2달러(약 1,668원)로 추락한 후 현재는 약 2.4달러(약 3,336원)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이와 같은 하락은 XRP에 국한되지 않고, 전반적인 시장의 매도 압력과 레버리지 청산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전통적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던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불과 몇 시간 만에 12만 2,000달러(약 1억 6,958만 원)에서 10만 5,000달러(약 1억 4,595만 원)까지 추락하면서 ‘공포 매도’가 시장을 강타하였다. 이러한 급락은 알트코인에서도 더욱 큰 하락폭을 초래했다. 특히, 코스모스(ATOM)는 가치의 99%가 사라졌다 반등하는 극단적인 변동성을 보였다.
XRP 외에도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도지코인(DOGE) 등 주요 알트코인들이 급격하게 손실을 입어 많은 투자자들의 포지션이 흔들리는 상황이 이어졌다. 전문가들은 이 사태가 암호화폐 시장 내 레버리지 사용의 위험성을 되새기게 하는 경고이며, 청산과 유동성 부족이 겹쳐 더욱 큰 피해를 초래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특히, 얇은 알트코인 매수 대기량이 대량 매도세를 견디지 못하고 더욱 가파른 하락폭을 만들어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XRP에 대한 대형 보유자들의 매도 행렬은 하루 약 5,000만 달러(약 695억 원) 규모에 이르고 있어 추가적인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부 분석가는 XRP가 3달러(약 4,170원) 선에서 지지를 받는다면 새로운 상승세가 증폭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와 같은 극단적인 시장 변동성 속에서 투자자들은 레버리지 사용에 있어서 신중할 필요가 있다. 최근의 급변 사태는 한순간에 수천억 원대 자금이 사라질 수 있는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며, 앞으로의 시장 운영에 대한 새로운 지침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거세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