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브란트, 비트코인 고점 예측 통해 급락 사태 분석

[email protected]



전설적인 트레이더 피터 브란트가 10월 5일 비트코인(BTC)의 고점을 정확히 예측한 후,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급락 사태에 대해 심도 있는 분석을 내놓았다. 브란트는 자신의 시장 사이클 분석에 입각해 이 날짜를 정점으로 예측했지만, 숏 포지션을 취하지 못한 것에 대해 아쉬움을 표했다. 그의 상징적인 차트인 ‘바나나 차트’에서도 이러한 예측이 반영되어 있어 시장의 많은 관심을 끌었다.

브란트는 비트코인이 4년 주기의 반감기를 중심으로 고점과 저점 사이의 구조적 변화를 겪는다고 주장하며, 과거 사이클에서도 반감기 후 약 6주 뒤에 일시적 고점이 형성된다는 점에 착안해 이번 랠리 역시 비슷한 패턴을 보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10월 5일을 기점으로 제시한 빨간색 ‘찡그림 얼굴’ 이모티콘이 급락의 시점을 정확히 예고했다고 강조했다.

이번 비트코인 급락의 주된 원인은 미국 정부가 발표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100% 관세와 제한적인 소프트웨어 수출 정책이다. 이러한 발표는 글로벌 금융 시장에 상당한 충격을 주었고,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즉각적인 반응으로 하락세를 가져왔다. 일부 언론에서는 이 결정이 암호화폐에도 관세가 적용될 것이라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비트코인은 그 주 초에 사상 최고가인 12만 5,000달러에 도달했으나, 이후 12% 이상 하락하여 11만 3,000달러 이하로 떨어졌다. 코인글래스의 자료에 따르면, 24시간 이내에 강제로 청산된 레버리지 포지션의 규모는 190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 가운데 1시간 동안에만 약 70억 달러가 청산되어 사상 최대 규모의 유동성 대폭발이 발생했다.

이와 같은 충격에도 불구하고 주요 업계 인사들은 시장 회복에 대한 신뢰를 나타내고 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의 CEO인 마이클 세일러는 “비트코인은 관세 대상이 아니다”라고 언급하며 비트코인의 본질적인 자산 가치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유명 투자자 앤서니 폼플리아노는 “48시간 이내 비트코인과 증시의 펀더멘탈은 바뀌지 않았다”면서 이번 조정을 ‘지나친 레버리지를 정리하는 건전한 리셋’으로 평가했다.

암호화폐 애널리스트 미카엘 반 데 포페는 이번 하락을 현재 사이클의 바닥으로 평가하며 알트코인의 저점 형성과 회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또한, 비트코인 지지자인 샘슨 모우는 “업토버(Uptober)는 아직 21일이 남았다”며 상승 기대감을 이어갔다. 경제 전략가 제임스 손은 “역대급 청산 이후에도 비트코인이 11만 4,000달러에 머물고 있다는 것이 가장 인상적이다”라고 평가했다.

이번 급등락 상황은 비트코인의 구조적 강인함과 레버리지 시장의 위험성을 동시에 부각시켰다. 전문가들의 분석과 시장 흐름은 다소 상반되지만, 투자자에게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향후 어떻게 시장이 변화할지에 대한 이들의 전망이 주목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