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 24시간 내 숏 포지션 청산 9,344만 달러 발생

[email protected]



지난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에서 대규모 포지션 청산이 발생하며 숏 포지션 청산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낸스에서는 2,202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하며 전체 청산의 35.84%를 차지했고, 이 중 64.51%가 숏 포지션이었다.

이어 OKX에서도 1,244만 달러(전체 청산의 20.25%)의 청산이 있었으며, 이 역시 81%가 숏 포지션으로 집계되었다. 하이퍼리퀴드와 바이비트에서도 각각 1,050만 달러(17.09%), 1,011만 달러(16.45%)의 청산이 발생했으며, 두 거래소 모두 숏 포지션 청산 비율이 50%를 넘어서면서 비중이 높았다. 특히, 중소형 거래소인 코인엑스에서는 87.3%의 숏 포지션 청산이 났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코인별 청산 상황을 살펴보면, 이더리움(ETH)이 1억 6,542만 달러로 가장 큰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으며, 비트코인(BTC)은 9,860만 달러로 뒤를 이었다. 최근 24시간 동안 비트코인의 가격은 1.29% 하락했으며 이더리움은 0.48% 하락하는 등 주요 암호화폐들이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솔라나(SOL)는 3,912만 달러의 청산과 함께 3.23%의 가격 하락을 나타냈고, 도지코인(DOGE)은 2,428만 달러의 청산을 기록하며 4.41% 하락했다.

특히 SUI와 같은 코인은 8.56%의 큰 폭 하락을 보여 상당한 규모의 청산이 발생했다. 반면 제로X(ZEC)는 25.32%의 급등세를 기록하며 거대한 숏 포지션 청산을 유도했다. ENA와 XPL 같은 토큰도 각각 17.68%, 16.74%의 급락세를 보여 이로 인해 대규모 청산이 이뤄졌다. 라이트코인(LTC) 역시 6.20%의 가격 하락과 함께 상당한 청산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대규모 숏 포지션 청산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이 하락세를 마감하고 단기적인 반등을 보이는 과정에서 일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암호화폐의 가격 변동성이 증가하면서, 레버리지를 활용한 트레이더들이 증거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강제 청산된 사례가 속출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의 변동성은 트레이더들이 보다 신중한 접근을 요구하게 만들고 있으며, 향후에도 지속적인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