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금융 경쟁, 한국은 어디에 위치해 있을까?

[email protected]



디지털금융 시장에서의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스테이블코인과 가상자산을 활용한 디지털 자산의 발전은 기존 국제 송금 시스템에 비해 많은 장점을 제공하여 주목받고 있다. 수수료 인하와 실시간 처리 가능성에 기반해 잠재적인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결제 서비스와 거래소 간의 협업을 통해 더욱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선두주자로 미국이 있으며, 특히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임과 함께 스테이블코인, 가상자산, 그리고 금융투자상품의 세 가지 축을 통해 디지털자산 시장 패권을 강화하고 있다. 스테이블코인은 디지털 경제에서 실질 화폐처럼 기능하며 안전성과 편리함을 제공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같은 변동성이 큰 자산보다 거래에서 유리하게 작용한다.

스테이블코인이 가지는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기존의 금융시스템과는 달리 즉각적인 결제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이다. 기존의 송금 시스템은 신뢰를 기반으로 작동하여 수수료가 발생하고, 결제 소요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블록체인 기술을 통한 송금은 이러한 중개과정을 생략함으로써 송금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이러한 변화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의 페이페이와 바이낸스 재팬이 협력하여 사용자들이 페이페이 앱을 통해 직접 가상자산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검토 중이다. 이는 일본 내 가상자산 투자 접근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이시바 시게루 총리는 “웹3는 산업혁명과 견줄 만한 전환점”이라고 언급하며 일본의 디지털 금융 진화를 강조했다.

미국 내에서도 비자는 스테이블코인을 자사의 P2P 송금서비스에 도입하여 기존 SWIFT 시스템의 단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효율성을 중시하는 기업들에게 매우 매력적인 방안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시에,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페이팔과 협력을 강화하여 결제 및 금융 서비스의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러한 흐름을 놓치지 않기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네이버의 금융 슈퍼앱과 두나무의 결합은 결제와 송금, 자산 증식 활동을 통합한 플랫폼을 제시하고 있다. 이 같은 시도는 한국 금융시장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파이낸셜은 3000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간편결제 서비스인 네이버페이를 통해 막대한 사용자 데이터를 확보하고 있으며, 두나무는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70% 이상의 점유율을 보유한 상황이다.

특히, 네이버와 두나무의 협력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으로 이어질 경우, 한국의 디지털 금융 경쟁력은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업계 관계자는 “글로벌 웹3 금융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어, 정부 차원의 전향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하였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