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최근 주말 동안 급격한 하락세를 겪으며 사상 처음으로 하루 기준 2만 달러 이상 하락하는 ‘데일리 캔들’이 발생했다. 국내 시세로는 약 2,780만 원에 이르는 이 하락 폭은 암호화폐 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잘 보여준다.
이번 하락세는 10월 11일(현지시간) 비트코인이 고점인 12만 2,600달러(약 1억 7,029만 원)에서 단숨에 10만 7,000달러(약 1억 4,873만 원)로 떨어지면서 시작됐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은 이튿날까지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3거래일 연속으로 하락하게 되면서 시장의 긴장감을 더욱 고조시켰다.
코인글래스(CoinGlass)의 데이터에 따르면, 이번 하락으로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단 하루에 청산된 금액은 193억 6,000만 달러(약 26조 9,00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역대 최대 규모의 디지털 자산 청산 사건으로, 과도한 레버리지를 이용한 거래에서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파생상품 시장 또한 이례적인 상황을 목격하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글래스노드(Glassnode)는 비트코인 선물시장에서 단일 일간 기준으로 최대 청산 규모인 110억 달러(약 15조 2,900억 원)가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통계는 투자자들이 레버리지를 대폭 줄이고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투자자들은 비트코인의 심리적 지지선인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 근처에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비트코인은 24시간 기준으로 약 0.25% 하락하였으며, 주간 기준으로는 11% 가량 조정 중이다. 이러한 하락세는 중기 상승 사이클의 중대한 전환점을 이루었다는 분석을 낳고 있다. 옵션 거래 시장에서도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와 10만 달러 가격대의 ‘풋옵션(하락 베팅)’ 거래가 분석되며 추가적인 하방 압력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번 상황은 3년 넘게 이어진 비트코인 강세장의 종지부를 찍을 수 있다는 전망을 가져오고 있다. 그러나 일부 전문가들은 급락 이후 반등 가능성에 주목하며 지나친 공포보다는 냉정한 시황 판단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공식 트위터(X) 계정에서는 “사상 첫 2만 달러 데일리 캔들”이라는 메시지를 통해 시장의 변동성을 상징적으로 전달하며, 이 기록이 단순한 기술적 사안이 아닌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맞물린 리스크 요소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점에서 경계심을 갖고 있는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