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코인글래스 데이터에 따르면, 13일 기준 비트코인의 롱 포지션 비율은 달러 마진에서 58.23%로 지난주 대비 4%포인트 이상 감소했으며, 코인 마진 비율은 67.61%로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달러 마진 비율은 71.83%로 다소 조정되었지만, 코인 마진 비율은 61.35%로 소폭 상승했습니다. 반면, XRP는 달러 마진 비율이 55.18%, 코인 마진 비율이 52.16%로 각각 15%포인트, 23%포인트 이상 급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솔라나는 달러 마진에서 63.79%로 8%포인트 가량 줄어들었음에도 불구하고, 코인 마진 비율은 86.65%로 10%포인트 증가했습니다. 도지코인은 달러 마진 63.18%, 코인 마진 55.45%로 각각 15%포인트, 7%포인트의 큰 조정을 겪으면서 불안정한 모습을 드러냈습니다.
상위 트레이더의 롱 포지션 보유 계좌 비중을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달러 마진 시장에서 60.99%, 코인 마진 시장에서는 67.21%로 안정적인 비율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의 경우, 달러 마진은 69.13%, 코인 마진은 78.98%로 나타났으며, 달러 마진 비율은 소폭 감소했지만 코인 마진 비율은 이전 수준을 초과했습니다.
XRP는 달러 마진에서 72.79%, 코인 마진에서 82.23%로 각각 7%, 3% 감소해 두 시장에서 조정을 겪고 있습니다. 솔라나는 달러 마진 77.43%, 코인 마진 87.07%로 전반적인 강세 심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도지코인 또한 달러 마진 74.54%, 코인 마진 86.07%로 각각 7%, 3% 감소한 상황입니다.
또한, 포지션 기준으로 보면 달러 마진 시장에서 TST(86.0%), USTC(83.9%), HEI(82.8%)가 높은 롱 비중을 기록했으며, 코인 마진 시장에서는 WLD(88.7%), WIF(88.0%), SOL(86.7%)가 상위권을 차지했습니다. 계좌 기준으로는 달러 마진 시장에서 REI(89.17%), GHST(87.54%), FIO(86.31%)가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코인 마진 시장에서는 WLD(92.0%), LINK(89.2%), ALGO(88.3%)가 88% 이상의 비중을 기록했습니다.
이번 데이터는 현재 달러 마진 시장의 불안정성과 XRP의 롱 포지션 급감 현상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향후 시장 흐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투자자들은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