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이 지난 10월의 급락을 딛고 반등에 성공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에서 다시 부각되고 있다. 두 암호화폐는 각각 3%와 9% 상승하며 최고가 수준으로의 회복세를 보였다. 이번 반등을 이끈 주된 원인은 아시아 및 미국 기관 투자자들의 적극적인 매수 활동으로, 이로 인해 비트코인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가 19개월 내 최고치인 0.182를 기록했다고 암호화폐 분석 기업 크립토퀸트(CryptoQuant)가 발표했다.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미국 거래소에서의 비트코인 거래 가격과 바이낸스에서의 테더(USDT) 거래 가격 간의 차이를 나타내며, 일반적으로 시장이 조정 국면에 접어들면 이 지수가 줄어들거나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 프리미엄이 오히려 상승하여 기관 투자자가 가격 하락 시에도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구매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디핑 매수(Buy the dip)’ 전략의 전형적인 사례로, 기관 투자자들이 가격 하락과 유동성 위기를 기회 삼아 장기 보유용으로 물량을 확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 가격이 11만 달러(약 1억 5,290만 원) 수준에서 강한 지지선을 형성했을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기관들의 지속적인 매수세는 향후 가격 하락 압력을 완화하고 빠른 반등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더리움 역시 이와 유사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으며, 같은 날 이더리움의 코인베이스 프리미엄 지수는 연중 최고치인 6.0을 기록했다. 이는 기관 매수세가 비트코인과 동등한 수준으로 강하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크립토퀀트는 이를 통해 미국과 글로벌 투자자 간의 온도차가 더욱 뚜렷해지고 있으며, 주요 투자자들이 이더리움을 저가 매수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따라서 기관들이 구축한 매수벽은 중장기적인 가격 안정세를 이끌 가능성이 높다.
한편, 지난 폭락의 주요 원인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대중 무역 관련 발표였다. 불 시어리(Bull Theory)에 따르면, 사건 발생 이틀 전 한 고래 투자자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 대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공매도 포지션을 구축했으며, 이는 트럼프의 트루스소셜(Truth Social) 게시물이 발표된 직후 포지션을 빠르게 청산하면서 약 2억 달러(약 2,780억 원)의 수익을 얻었다. 그는 11월 1일부터 모든 중국산 제품에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트럼프의 발표 30분 전, 공매도 포지션을 두 배 이상 확대했고, 이로 인해 글로벌 금융시장은 즉각적으로 반응했다.
S&P 500 지수는 2% 이상 하락하며 비트코인은 10만 2,000달러(약 1억 4,178만 원)로 급락했으며, 일부 알트코인은 90% 이상 폭락하는 상황을 맞았다. 불과 몇 시간 만에 1조 달러(약 1,390조 원) 이상의 암호화폐 시가총액이 소멸되었고, 200억 달러(약 27조 8,000억 원) 이상의 포지션이 청산되면서 시장에서 시스템적 디레버리징 현상이 발생했다.
분석가들은 이번 폭락을 2020년 3월 코로나19 팬데믹 및 2023년 미드사이클 조정과 유사한 ‘구조적 정화’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들은 과도한 레버리지를 해소한 이번 조정이 향후 상승장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