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마인 이머전(BitMine Immersion)은 최근 이더리움(ETH)을 303만 개 이상 보유하며 이더리움 전체 공급량의 2.5%를 돌파했다고 밝혔다. 이는 비트마인이 지속적으로 추진해온 ‘5% 보유 전략’의 중심에 도달했음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10월 13일 기준으로 비트마인의 전체 가상자산 및 현금 보유액은 129억 달러(약 17조 9,310억 원)에 달하며, 그중 이더리움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현재 보유 중인 이더리움 수량은 3,032,188개로, 평균 구매 가격은 1ETH당 4,154달러(약 577만 원)로 평가됐다. 이외에도 192개의 비트코인(BTC)과 뉴욕증권거래소(NASDAQ: ORBS)에 상장된 에잇코홀딩스의 1억 3,500만 달러(약 1,877억 원) 지분도 포함되어 있다.
비트마인의 대규모 이더리움 매입은 최근 시장 급락과 관련이 깊다. 펀드스트랫의 공동 창립자이자 비트마인 회장인 톰 리(Tom Lee)는 “최근 며칠 동안 레버리지 청산으로 인한 매물이 쏟아졌고, 이는 자산 가격이 본래 가치보다 낮게 거래되는 기회를 제공해주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변동성이 클수록 트레이더들에게는 위험 요소가 되지만, 투자자에게는 드문 매수 기회로 작용한다”고 덧붙였다.
회사에 따르면, 비트마인은 지난 5일 동안에만 202,037개의 이더리움을 추가로 매입했으며, 이 매수 금액은 8억 3,400만 달러(약 11조 5,926억 원)에 달한다. 트위터 분석업체 아크햄(Arkham)은 “비트마인이 이더리움 공급량의 절반 목표치 이상을 확보했으며, 현재 보유 중인 이더리움의 총 가치는 125억 2,000만 달러(약 17조 3,628억 원)”라고 전했다.
이러한 비트마인의 움직임에 힘입어 비트마인 주가(NYSE: BMNR)도 급등했다. 10월 14일 장중 8% 이상 상승하여 56.85달러(약 7만 9,027원)로 거래되었으며, 이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소폭 조정되었다. 비트마인의 주가는 이더리움을 본격적으로 축적하기 시작한 6월 말 이후, 무려 1,20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시장 급락의 발생 원인으로는 트레이더들 간의 대규모 공매도와 미국 대통령의 주요 발표 직전의 타이밍이 맞물린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인해 160만 명 이상의 투자자 계좌가 강제 청산되고 기록적인 손실이 발생했다. 비트마인 외에도 이더리움을 대량 보유하고 있는 샤프링크게이밍(SharpLink Gaming)은 838,727개의 이더리움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약 35억 4,000만 달러(약 4조 9,266억 원) 상당이다.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의 전략지(Strategy) 또한 비트코인 220개를 2,700만 달러(약 375억 원)에 추가 매입했다.
이더리움 가격은 큰 변동을 보여주었으나 다시 안정세를 찾고 있다. 10월 14일 한때 4,285달러(약 595만 원)까지 반등했으나 현재는 4,100달러(약 569만 원) 부근에서 박스권에 머물고 있다. 일부 애널리스트들은 오는 4분기 또는 내년 1분기 중 1만 달러를 돌파할 가능성도 점치고 있다. 또 한편에서는 부탄이 국가 디지털 신원 시스템을 이더리움 기반으로 구축함으로써 이더리움 기술의 채택 범위를 확장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