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사리 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일드 길드 게임즈(Yield Guild Games, YGG)는 전통적인 길드 모델에서 벗어나 게임 퍼블리셔 및 개발사 역할로 전환하며, 캐주얼 디지털 자산 게임인 LOL 랜드를 출시해 눈에 띄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특히, YGG는 스마트 계약 기반의 자동화된 수익 분배 구조와 함께 두 차례의 토큰 바이백을 통해 커뮤니티와토큰 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YGG는 2020년 웹3 게임 길드로 출범해 플레이어와 크리에이터, 그리고 커뮤니티 중심의 ‘플레이 투 Earn’ 모델을 도입한 이래, 엑시 인피니티(Axie Infinity)와의 협업 및 글로벌 서브DAO 구축으로 생태계 확장을 이뤄냈다. 하지만 암호화폐 사용자들의 게임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단순한 길드 프로그램으로는 참여를 유지하기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고, YGG는 독자적인 게임 퍼블리셔이자 운영사로의 변화를 꾀했다. 이러한 변화의 상징적인 작품이 바로 LOL 랜드이다.
메사리 리서치에 의하면, LOL 랜드는 YGG의 퍼블리싱 부문인 YGG 플레이를 통해 2025년 5월에 출시된 브라우저 기반의 캐주얼 보드 게임으로, 앱스트랙트(Abstract) 플랫폼을 기반으로 했다. 이 게임은 모노폴리 스타일의 구조를 취하면서도 NFT 보상과 1,000만 달러 규모의 YGG 토큰 풀을 통해 많은 이용자를 유치하였고, 오픈 주말 동안에만 2만 5,000명의 플레이어가 몰렸다. 월간 사용자 수는 63만 명을 초과하며, 단 두 달여 만에 310만 달러의 매출을 달성하고, 일평균 매출이 약 2만 7,361달러에 이르렀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LOL 랜드 사용자들의 참여 빈도와 소비 수준은 더욱 흥미롭다. 유저의 42%가 10~100달러를 지출했으며, 일부 55개의 지갑은 1만 달러 이상을 사용했고, 11개 지갑은 5만 달러를 넘겨 더욱 높은 소비를 나타냈다. 총 1만 6,979개의 고유 지갑이 유입되었고, 일평균 활성 사용자 수는 243명에 달해 YGG의 사용자당 평균 수익(ARPU)은 1,020달러로 평가되었다. 이는 고래(whale)와 소액 참여자를 아우르는 게임 설계의 효과를 보여준다.
YGG는 자체 타이틀 외에도 서드파티 퍼블리싱을 통해 생태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를 위해 스마트 계약에 근거한 수익 분배 구조를 도입하였고, 퍼블리셔와 개발사 간의 투명한 수익 분배를 보장함으로써 기존 웹2 게임 산업의 수익 긴장도를 해소하고 있다. 기가버스(Gigaverse)와 디랩스 게임즈(Delabs Games)가 YGG 플레이의 외부 파트너로 합류하며 이 모델이 실제 비즈니스로 자리잡고 있다.
게임의 성공은 YGG의 재무 전략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2025년 7월 31일에는 135 이더리움(ETH) 규모의 YGG 토큰을 바이백하고, 8월 22일에는 LOL 랜드 수익을 활용하여 100만 달러 규모의 추가 바이백을 진행했다. 이와 같은 조치는 수익을 생태계로 되돌려 주고 장기적 가치를 보호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YGG의 재무부는 현재 3,800만 달러 규모로 평가되며, 이 중 770만 달러가 안정적인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YGG가 2027년까지도 안정적인 운영을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한다.
LOL 랜드를 통한 성과는 YGG의 미래 전략을 가시화시키는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반복 가능한 성공 모델과 투명한 수익 구조, 그리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