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ETF 전문 운용사 볼래틸리티 셰어스(Volatility Shares)가 리플(XRP)의 5배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출시를 위한 도전장을 내밀었다. 이번 제안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제출된 문서에 기반하고 있으며, 이 ETF는 XRP를 포함한 주요 암호화폐의 일일 수익률을 5배로 추적하는 형식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초고위험 파생 상품은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나, 동시에 극도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을 동반할 수 있다.
이번 제안은 최근 그라나이트셰어스(GraniteShares)가 제출한 3배 레버리지 XRP ETF보다 더 위험한 투자 상품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이 ETF가 2%의 XRP 가격 상승시 10%의 수익을 목표로 하지만, 하락할 경우 손실은 5배로 커질 수 있다는 점에서 투자 리스크가 매우 높다고 경고하고 있다. 원금 손실 위험이 커지는 상황이므로, 이러한 고위험 상품에 대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
볼래틸리티 셰어스는 리플 외에도 다양한 암호화폐 및 기술기업의 주식, 예를 들면 코인베이스($COIN), 서클($CRCL),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GOOGL), 마이크로스트래티지($MSTR) 등의 주식에 대해 5배 레버리지 ETF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제안은 ETF 분석가 에릭 발추나스(Eric Balchunas)에 의해 “3배 ETF 조차 승인되지 않은 상황에서 5배 상품을 출시하려는 시도는 거의 도박에 가까운 테스트”라고 언급될 정도로 시장 내 도전성을 보여준다.
5배 레버리지 ETF는 높은 수익을 추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지만, 매일 리셋되는 방식으로 인해 변동성 손실(volatility decay)과 복리 효과(compounding effect) 때문에 예기치 못한 성과 왜곡이 발생할 가능성도 간과하지 않아야 한다. 자산이 장기간에 걸쳐 횡보하거나 급격한 변동성을 겪는 경우에는 기대 수익 미치지 못하거나 원금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현재 암호화폐 ETF 시장은 규제 당국의 검토가 복잡해지는 양상이다. SEC는 그라나이트셰어스의 3배 XRP ETF조차 허가하지 않은 상황에서, 볼래틸리티 셰어스의 도전적 제안이 규제 당국의 추가적인 검토와 규제를 더욱 복잡하게 만들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은 고위험 투자자나 단기 트레이더를 위한 파생 금융상품 중심의 암호화폐 ETF 시장이 과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하나의 사례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