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일 코스피 지수가 3650선을 넘어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그에 따른 시장의 시가총액이 처음으로 3000조원을 초과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유가증권시장에서 총 시가총액은 3011조9081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이전 최고치인 10일의 2974조6460억원을 경신한 결과이다.
코스피가 3000조원이라는 이정표를 세운 것은 지난 9월 이후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온 덕분이다. 최근 한 달간 코스피는 월간 기준으로 7.49% 증가했으며, 이달 들어서도 6.79% 상승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지수 상승의 배경에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활발한 매수세가 크게 기여하고 있다.
실제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달 유가증권시장에서 7조4370억원을 순매수했으며, 이달 들어서도 4조9300억원을 추가로 매수했다. 이날 하루 동안만 1629억원을 순매수함으로써, 이들은 꾸준히 한국 주식시장에 투자하고 있다. 이러한 외국인들의 매수는 주로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반도체 수요의 증가와 함께 업황 개선 전망이 긍정적임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와 같은 반도체 중견기업들에 대한 투자 강세가 두드러진다. 삼성전자는 이날 3.71% 상승하여 시가총액이 562조3656억원에 이르렀고, SK하이닉스도 2.67% 올라 307조5810억원을 기록했다. 두 기업의 시가총액 합계는 870조원에 이르며, 이는 전체 코스피 시가총액의 30%를 넘어서는 수치다. 이러한 큰 비중을 차지하는 두 기업이 주도적으로 코스피의 상승을 이끌고 있는 셈이다.
더불어 이날 정부에서 발표한 3차 부동산 대책은 생산적 금융의 촉진에 대한 기대감을 조성했다. 이를 통해 그간 반도체 업종에 국한되었던 상승세가 증권 및 금융주까지 확대되면서 코스피의 신고가 경신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코스피는 빠른 속도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외국인 투자자들의 불확실성 감소와 지속적인 투자 유입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결과적으로, 외국인 투자자들의 강력한 매수세와 시장 전반의 긍정적인 요소들이 결합되며, 코스피는 새로운 역사적 이정표를 세우고 있는 중이다. 향후 반도체 업종의 경과와 정부 정책이 한국 경제와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되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