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Z, XRP의 상장 폐지 없었던 주장으로 바이낸스 고액 상장 조건 논란에 반박

[email protected]



바이낸스의 전 CEO인 창펑 자오(CZ)는 리플(XRP)에 대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공격이 있었던 당시에도 바이낸스가 XRP를 상장 폐지하지 않았다고 강조하며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CZ는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바이낸스가 시가총액 1,000억 달러를 넘는 자산들은 상시 상장 대상으로 삼았으며, XRP도 그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음을 밝혔다.

그는 이와 관련하여, 진정한 프로젝트의 가치는 시장에서 증명되어야 하며, 강력한 프로젝트일수록 상장을 위해 추가 비용을 지불할 필요가 없다고 전했다. 이는 최근 업계에서 상장 관련 불만을 제기한 일부 창업자들에게 경고의 메시지로 해석된다.

이번 논란은 리미트리스 랩스(Limitless Labs)의 CEO CJ 헤더링턴의 폭로로 시작되었다. 그는 바이낸스가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 알파 상장이라는 조기 거래 기회를 제공하는 대신, 총 공급량의 5%에 해당하는 토큰을 요구했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4%는 사용자 대상으로 하는 에어드롭 형식으로, 1%는 마케팅 용도로 쓰여야 한다고 언급했다. 또한, 보안 예치금으로 25만 달러, 추가적으로 BNB 기반으로 200만 달러를 요구받았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CZ는 이런 요구가 특히 위험도가 높은 프로젝트에만 해당한다며, 신뢰할 수 있는 프로젝트에는 그러한 상장 수수료 요구가 적용되지 않는다고 반박했다. 또한, 그의 공동 창업자인 허 이(He Yi)는 해당 예치금이 전액 환불 가능하다고 주장하며 비판을 일축했다.

헤더링턴은 바이낸스 대신 코인베이스의 레이어2 블록체인 플랫폼 ‘베이스(Base)’를 개발하는 것이 더 이치에 맞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베이스를 주도하는 제시 폴락(Jesse Pollak) 또한 “토큰 상장에는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바이낸스를 간접적으로 비판하였다.

이에 CZ는 이러한 비평을 ‘패배자 정신’으로 간주하고 공격했다. 그는 “그가 누구인지도 잘 모르겠다”며 “주의를 끌려고 허위 이미지를 만들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의 SNS에는 “블록 대신 뮤트(Mute)를 선택하겠다. 무시는 최고의 거절 방식이다”라는 말이 올라왔다.

이번 사건은 암호화폐 거래소와 프로젝트 간의 이해 충돌 및 견제 관계를 다시 한번 부각 시키는 사례로 여겨지며, XRP의 상장 지속 여부와 거래소의 상장 정책에 대한 신뢰성 문제를 시장에 제기하고 있다.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신뢰와 명확한 상장 기준이 필요한 시점으로, 이 논란은 앞으로도 업계의 주목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