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한미 무역협상 마무리 단계 진입…APEC 회의서 타결 가능성

[email protected]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한국과의 무역 협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으며, 세부사항들을 해결 중이라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그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한국과의 협상을 마무리하려는 단계에 있으며, 작은 디테일이 남아 있지만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베선트 장관은 이번 주에 워싱턴 D.C.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 및 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맞춰 한미 양국의 당국자들이 만나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방미한 구윤철 경제부총리와의 협상이 이루어지는 중요한 기회로 여겨진다.

이번 협상은 이달 말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급속히 진행되고 있으며, 지난 3개월 간 교착 상태에 있던 무역 협상의 타결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미 양국은 지난 7월 말 기본적인 무역 합의를 이뤘으나, 한국 정부가 약속한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와 관련해 이견이 있었던 상황이다. 특히, 투자 패키지의 구성과 이익 배분 문제에서 양국 간 세부 조율이 이루어지지 않아 최종 합의에 도달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한국이 자동차 관세에서 유럽연합(EU)과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리한 25%의 고관세를 적용받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관세 협상 수정안을 들고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과 함께 16일 미국에 방문해 협상 상대인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과의 회담을 진행할 예정이다. 그는 “최근 미국 측이 우리 수정안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새로운 대안이 제시됐다”며 “이는 의미 있는 진전”이라고 평가했다.

이 외에도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 주요 재계 인사들도 한국의 관세 협상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다. 이들은 손정의 일본 소프트뱅크 회장의 초청으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사저가 있는 플로리다 마러라고 리조트에서 간담회를 갖고 협상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 무역협상이 조속히 마무리될 경우, 양국 간의 경제적 협력이 보다 강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글로벌 경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