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제 플랫폼 페이팔과 제휴하여 스테이블코인 ‘페이팔 USD(PYUSD)’를 발행해온 팍소스가 30분 만에 약 300조 달러(약 417경 원) 어치의 PYUSD를 발행한 후 즉시 전량을 소각한 사실이 알려져 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10일, 이더리움 블록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팍소스는 세계 표준시 기준으로 오후 7시 12분에 PYUSD 300조 개를 신규 발행하고, 22분 후 해당 토큰을 모두 접근 불가능한 지갑 주소로 전송하여 소각했다.
이와 같은 대규모 민트 및 소각 사건은 업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상황으로, 많은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이러한 움직임으로 인해 탈중앙화 금융(DeFi) 플랫폼인 아베는 PYUSD 거래에 일시적인 제한을 두기로 했다. 카오스랩스의 창립자 오머 골드버그는 소셜 미디어 플랫폼 엑스(구 트위터)를 통해 “예상치 못한 대규모 거래에 따른 조치”라며 아베가 PYUSD 거래를 일시 중지한 배경을 설명하는 한편, 사용자들에게 계속해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음을 알렸다.
현재까지 팍소스 측은 이와 같은 대규모 거래의 이유나 의도에 대한 구체적인 해명을 하지 않고 있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번 사건이 내부 테스트나 회계적 관리를 위한 일시적인 조치일 가능성 점쳐지고 있다. 하지만 민트 및 소각의 규모가 이례적인 만큼, 블록체인 전문 커뮤니티에서는 다양한 추측과 우려가 퍼지고 있다.
PYUSD는 미국 달러와의 1:1 연동을 목표로 하는 스테이블코인으로, 페이팔의 공식 지지를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사건으로 인해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발행의 투명성에 대한 우려가 다시금 부각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수조 단위의 자산이 시장에 유입된다면, 이는 시장에 과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명확한 설명과 감시 체계가 필수적”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 사건은 스테이블코인의 투명성과 안정성에 대한 논의를 불러일으키며, 많은 시장 참여자들이 향후 PYUSD 거래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팍소스와 페이팔은 이번 사태에 대해 신속하고 명확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