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ed 베이지북, “관세로 인한 기업 비용 부담 심화”

[email protected]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최근 경기 동향 보고서인 ‘베이지북’에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기업들의 비용 압박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Fed는 15일(현지시간) 발표한 이번 베이지북에서 조사 기간 동안 물가가 추가로 상승했으며, 여러 지역에서 수입 비용, 보험, 의료, 기술 솔루션 등 서비스 부문의 높은 비용이 투입비용 상승을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관세로 인한 투입 비용 증가가 여러 지역에서 보고되었지만, 이러한 비용 상승이 최종 소비자 가격에 전가되는 정도는 지역마다 차이를 보였다. 특히 일부 기업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격을 동결하거나 인플레이션에 민감한 소비자들을 고려하여 가격 인상을 자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반면, 다른 기업들은 수입 비용 상승을 전액 고객에게 전가하는 경우도 있어 상반된 대응이 나타났다.

더불어 일부 지역에서는 수요 감소로 인해 자재 가격이 오히려 하락했다는 보고도 existence했다. 이는 공급망의 불안정성과 경기 둔화가 겹쳐져 발생한 현상으로 보인다. 이처럼 각 기업들이 관세의 영향을 다르게 수용하며 가격 전략을 조정하는 상황은 향후 경기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노동시장에서도 Fed는 최근 몇 주간 고용 수준이 대체로 안정적이었으나 노동 수요 전체는 억제된 상태에 있다고 평가했다. 이는 기업들이 새로운 투자를 선호하기 어려운 환경을 반영하는 지표이다.

Federal Reserve는 12개 연방준비은행(연은) 관할 지역을 대상으로 한 경기 평가는 다음과 같았다. 3곳은 다소 완만한 성장세를 보였고, 5곳은 변동이 거의 없으며, 4곳은 경기 흐름이 다소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미국의 전반적인 경제활동이 지난 9월 보고서 이후 큰 변화를 겪지 않았다는 것을 시사하며, 연준이 오는 28~29일 예정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이 자료를 활용할 예정임을 알린다.

베이지북의 발표는 경제 정책 방향성에 중요한 기초 자료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보고서는 미국 경제가 불확실성에 놓여 있음을 그대로 드러내며, 향후 기업의 가격 전략과 소비자 반응에 대한 예측이 더욱 필요해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