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낸스의 귀환, 한국 디지털 자산 산업의 새로운 전환점

[email protected]



10월 16일,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바이낸스의 고팍스 대주주 변경 신고를 승인하였다. 이는 2년 이상 이어진 심사가 마무리된 것을 의미하며,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2021년 철수 이후 4년 만에 한국 시장으로 돌아오는 중요한 사례다. 이번 승인 배경에는 미국 당국과의 소송이 종결되었고, 고팍스의 사업계획이 국내 규제 기준을 충족했다는 두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 여기에 따라 한국의 디지털 자산 산업은 한층 더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는 상징적인 장면을 연출하고 있다.

바이낸스의 귀환은 단순한 기업 재진입의 의미를 넘는다. 2023년 2월, 고팍스가 제휴사 제네시스 트레이딩의 파산으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했을 때, 바이낸스는 67%의 지분을 인수하여 구세주 역할을 했다. 그러나 당시 금융정보분석원은 자금세탁방지(AML) 체계의 불확실성을 내세워 승인을 보류하였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바이낸스를 미등록 플랫폼 운영 및 고객 자산 부적절 사용으로 고소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2023년 11월, 바이낸스는 43억 달러 벌금과 형사합의로 이 사건을 마무리 짓게 된다.

이와 함께 한국에서는 2024년 7월부터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법’이 시행된다. 이 법은 거래소가 실명계좌를 사용하고, 보험에 가입하며, 예치금의 80% 이상을 콜드월렛에 보관해야 한다는 규정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규제가 강화되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상당히 줄어들었고, 2025년 5월 SEC가 바이낸스에 대한 민사소송을 기각하자 FIU는 더 이상 결정을 미룰 이유를 잃었다.

이번 승인은 고팍스에 큰 숨통을 틔워주었다. 2022년 제네시스 파산으로 인해 보상이 중단되었던 고파이(GOFi) 피해자들에게 본격적인 지급이 재개되었다. 약 7천만 달러가 지급되었고, 추가 보상도 회수 자산으로 이뤄지고 있다. 바이낸스는 이를 바탕으로 글로벌 유동성과 기술력을 활용해 거래 인프라를 재정비하고 은행 제휴를 확대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기존 업비트와 빗썸이 독주하고 있는 구도가 흔들릴 가능성이 크다. 바이낸스는 400여 개의 상장 종목을 보유하고 있으며, 0.01%의 수수료와 2억9천만 명의 사용자 기반을 통해 구조적 변화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새로운 시장의 도입은 동시에 더 높은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 이용자 보호법은 거래소가 고객 자산을 회사 자산과 완전히 분리해 관리하고, 보험으로 손실에 대비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바이낸스는 한국의 법률을 충실히 실행하면서도 글로벌 수준의 유동성과 효율성을 유지해야 한다. 이는 규제 준수와 시장 혁신이라는 두 가지 시계를 동시에 맞춰야 하는 시험대에 올라선 것이기도 하다.

한편, 뉴욕에서는 ‘Aptos Experience 2025’가 열렸다. 이 행사에서는 a16z, 블랙록, 서클 등의 금융 기관과 벤처 캐피털이 참여하여 기관용 디파이, 스테이블코인 결제, 차세대 거래 인프라 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Aptos 기반의 토큰화 펀드가 발표되었으며, 그 결과 Aptos 네트워크의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은 행사 후 85% 이상 증가했다. 이는 글로벌 자본이 블록체인을 ‘기반 인프라’로 인정하고 있는 요소다.

이 같은 변화 속에서, 한국은 선택의 기로에 서 있다. 규제의 명분 아래 멈춰설 것인지, 아니면 신뢰를 바탕으로 신속한 변화를 추구할 것인지 중요한 결정을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