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유엔마약·범죄사무소(UNODC)의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 내 범죄 조직이 폐쇄형 사기 단지 형태로 확대되면서 인신매매와 고문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고의로 방치되고 있는 실태가 드러났다. 이 보고서를 발표한 베네딕트 호프만 UNODC 동남아시아·태평양 지역 부대표는 이를 “암처럼 퍼지고 있다”고 묘사하며, 범죄 조직이 일정 지역에서 단속당하더라도 다른 지역으로 옮겨 활동을 이어갈 수 있음을 지적했다. 이런 구조는 캄보디아 전역 53곳에 이르는 범죄 단지의 존재로 연결되며, 이들 단지는 서로 연결된 산업형 범죄 생태계를形成하고 있다.
캄보디아 정부의 미흡한 단속 의지 역시 이러한 범죄의 근절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 앰네스티 국제본부는 캄보디아 정부가 인신매매, 노예제 및 아동 노동에 연루된 범죄를 고의로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범죄 단지는 자금을 세탁하기 위해 가상자산과 지하 금융에 의존하며, 이를 통해 연간 약 400억 달러(약 55조 원)의 막대한 수익을 올리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와 같은 조직적 범죄는 동남아를 넘어 아프리카, 남아시아, 중동, 태평양 도서국을 포함하여 유럽과 북미, 남미에까지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제 사회에서의 심각한 우려를 자아내며, 범죄가 국경을 넘는 상황에 대한 대응이 필요해지고 있다.
한국 정부는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 및 감금 사건이 잇따르자 ‘코드 블랙’ 여행금지 조치를 내리고, 현지에 합동 대응팀을 급파하여 구금된 한국인 송환을 추진하고 있다. 이 대응팀은 지난 7월 이후 캄보디아에서 구금된 한국인 60여명의 귀국 절차에 대한 논의를 진행 중이다. 캄보디아 정부는 국제 사회의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대규모 온라인 사기 조직에 대한 단속과 외국인 송환을 강화하겠다고 발표하였다.
터치 속학 캄보디아 내무부 대변인은 온라인 범죄에 연루된 외국인 약 1만5000명을 최근 2년 동안 추방하였고, 한국 정부와 협력하여 온라인 사기 및 불법 도박 등 범죄 예방을 위한 공조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캄보디아 내 범죄 네트워크의 확산은 단순한 경제 문제를 넘어 인권과 국제 안전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서 중대한 관심을 요한다. 이러한 범죄 생태계를 근본적이고 체계적으로 해체하기 위해서는 국제 사회의 연대가 필수적이며, 범죄 예방 및 피해자 보호를 위한 노력이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