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은행 부실 우려로 뉴욕증시 하락…국채 금리 급락

[email protected]



미국 뉴욕증시의 3대 주요 지수가 16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하며 마감했다. 일부 지역은행에서 발생한 부실 대출 문제로 인해 투자자들은 지난해의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사태를 떠올리며 불안감을 느꼈고, 이로 인해 매도세가 강화됐다. 이는 안전 자산 선호로 이어져 국채 가격은 급등했으며, 결과적으로 국채 금리는 크게 하락했다.

이날 다우지수는 301.07포인트(0.65%) 하락한 4만5952.24로 거래를 마쳤고, S&P500지수는 41.99포인트(0.63%) 떨어진 6629.07에, 나스닥지수는 107.542포인트(0.47%) 감소한 2만2562.537에 장을 끝냈다.

특히 지역은행의 신용 리스크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큰 패닉에 빠졌다. 자이언스 뱅코프는 부실 대출 문제로 인해 상당한 손실을 처리하기 위한 충당금을 쌓았고, 웨스턴 얼라이언스는 한 대출자가 사기를 저지른 사건을 알렸다. 이러한 소식은 시장에서 큰 충격을 주었고, 두 은행의 주가는 각각 13.14%와 10.81% 급락했다.

시장에서는 2023년 SVB 사태의 재현이 우려되며 투자 심리가 급속히 위축되었다. SVB 사태는 보유한 국채 가격 하락으로 인해 대규모 예금 인출 사태가 발생, 결국 해당 은행의 붕괴를 초래하며 이러한 우려가 전반적인 지역은행에 확산된 사건이었다.

아르젠트 캐피털 매니지먼트의 제드 엘러브룩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CNBC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은 신용 손실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며 “지역은행 소식에 대한 시장의 반응이 부정적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소형 금융주와 은행주가 하락세”라고 평가했다.

최근 퍼스트브랜즈와 같은 서브프라임 자동차 대출업체들이 연달아 파산하면서 신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심화되고 있으며, JP모건체이스의 제이미 다이먼 CEO는 금융권 전반에 잠재된 부실 위험을 경고하기도 했다.

또한 미·중 무역 갈등과 관련된 우려도 여전히 시장에 부담을 주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산 대두 수입을 중단한 것과 관련하여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면서, 식용유와 다른 거래 품목에 대한 제재 가능성을 언급했다. 이어 미 재무부의 스콧 베선트 장관은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한 동맹국과의 공동 대응 방침을 밝혔다.

또한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장기화함에 따라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지연되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통화 정책 결정에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국채 금리는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특히 10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7bp(1bp=0.01%포인트) 하락한 3.97%로, 2년 만기 미 국채 금리는 8bp 하락한 3.42%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종목별 흐름을 보면, JP모건은 2.34%, 골드만삭스는 1.31%, 웰스파고는 2.85% 급락하며 금융주가 전반적으로 약세를 보였다. 반면 엔비디아는 1.1% 상승세를 이어갔고,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애플은 각각 0.35%, 0.76% 하락했다.

이렇듯 뉴욕증시는 지역은행 부실 우려와 미·중 무역 갈등의 여파로 심각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향후 시장 전망에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