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C와 ETH에서 11억 달러 대규모 자금 유출…스테이블코인으로의 집중 이동

[email protected]



17일 기준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서 대규모 자금이 유출되며 스테이블코인으로의 이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현상은 위험 자산 회피 및 안정성 추구의 전환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크립토미터에 따르면, 이날 한국 원화(KRW) 5630만 달러, 미국 달러(USD) 4060만 달러, 터키 리라(TRY) 2410만 달러, 일본 엔화(JPY) 1290만 달러, 유로화(EUR) 1090만 달러, 브라질 헤알(BRL) 260만 달러, 영국 파운드(GBP) 200만 달러의 자금이 암호화폐 시장에 유입되었다. 특히 한국 원화 자금은 전액이 테더(USDT)로 전환되어 전체 스테이블코인 유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미국 달러 자금은 대부분 비트코인으로 이동했으며, 일부는 애프터마켓(APT), 바이낸스코인(BNB), 아이폰체인(ICP) 등으로 분산 유입되었다. 터키 리라 자금 중 대다수는 테더와 제로쿠파이(ZKC)로 이동했으며, 일본 엔화 자금은 전액 비트코인으로 흡수되었다. 유로화 자금은 테더, USD코인(USDC), 리플(XRP), 도지코인(DOGE)으로 분산되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테더에는 8120만 달러 규모의 자금이 모여 USDC, BFUSD, XUSD 등 다양한 알트코인으로 나누어졌다. 특히 비트코인은 총 5140만 달러를 흡수하며 일부는 이더리움, 솔라나(SOL), 리플로 이동하였다. 이더리움에 대해서는 전액이 WBETH로 전환되었다.

한편, 이날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총 8억2830만 달러가 비트코인에서 유출되었다. 이 가운데 가장 큰 이동은 테더로 이뤄졌으며, 이어서 USDC, FDUSD 등으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더리움에서도 총 3억4700만 달러의 자금이 빠져나갔고, 주요 유출 경로는 테더와 USDC, 달러, 원화 순이었다.

솔라나는 1억3830만 달러가 유출되었고, 리플에서도 5890만 달러가 빠져나갔다. 이처럼 위험 자산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의 자금 유출은 암호화폐 시장의 현 상황을 반영하며, 이를 통해 투자자들이 자산 안정성을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간 자산 흐름을 보면, 이날 테더에 결집된 자금이 11억 달러에 달하며 안정적인 수요를 이어가고 있다. 다른 법정화폐에서는 달러, 원화, 유로, 파운드, 터키 리라로의 현금화가 이뤄졌다. 이러한 흐름은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큰 변화와 투자자 심리의 변동성을 시사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