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토류, 미국과 중국 갈등의 중심에 서다…주가 급등하는 미국 희토류 기업들

[email protected]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면서 미국과의 무역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희토류는 지구상에서 ‘희귀한 금속’으로, 그 수량은 비교적 많지만 각각의 금속을 분리하고 정제하는 과정에서 높은 기술력을 요구하기 때문에 그 희소성이 더욱 강조된다. 특히 군사 분야에서 사용되는 희토류는 대부분 중국에서 공급되고 있어 이로 인해 주요 공급망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 미국은 이러한 중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방산용 그래픽 처리 장치(GPU)의 중국 수출을 차단하며 강력한 반격을 시도하고 있다.

현재 중국은 전 세계 방산용 희토류의 90% 이상을 공급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과 유럽은 환경 보호 규제 때문에 대량 생산이 어려운 상태이며, 중국은 희토류를 전략자원으로 육성하여 세금감면과 인허가 절차 간소화를 통해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이제 미국 정부는 자국의 희토류 산업에 막대한 지원금을 투입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치들은 MP머티리얼스와 같은 미국 기업에 큰 이익이 되고 있다.

MP머티리얼스의 주가는 올해 들어 5배 이상 급등하며 시가총액이 20조 원에 달하고 있다. 이 회사는 희토류의 초기 채굴 단계에 머무르고 있지만, 미국 정부의 지원 덕분에 향후 실적 개선이 기대되고 있다. 이외에도 미국의 희토류 관련 주식으로는 에너지퓨얼스와 라이너스레어어스가 있으며, 이들 기업 역시 정부의 지원 및 정책에 깊은 연관이 있다.

하이테크 업계에서는 희토류가 GPU에 필적하는 가치로 평가되고 있어, 글로벌 투자자들이 이러한 주식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특히 MP머티리얼스는 미 정부의 희토류 자립 전략 로드맵에 포함되어 있어, 이 회사의 성장 가능성이 더욱 보장되고 있다. 실제로, 회사는 2024년까지 글로벌 희토류 산화물 생산량의 15%를 차지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다.

금융업계에서는 MP머티리얼스를 비롯한 희토류 관련 주식에 대한 투자 포트폴리오를 권장하고 있으나, 투자 비중은 낮춰야 한다고조언하고 있다. 희토류 기업들은 높은 변동성과 정치적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다. MP머티리얼스는 2022년에 비해 2025년 예상 매출이 38%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프로젝션에 따르면 2026년에는 순이익 흑자 전환이 점쳐지고 있다.

한편, 에너지퓨얼스는 정련 및 정제 기술에 강점을 가진 회사로, 미국 내 유일한 정련 시설을 통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 회사도 여전히 적자 상태이며, 매출 성장 속도도 꾸준하나 MP머티리얼스에 비해 낮은 수준이다.

결론적으로, 미국 정부는 중국의 위협에 대한 대응으로 희토류 자원의 자립화 의지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 내 희토류 기업들의 시장 가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MP머티리얼스와 에너지퓨얼스는 향후 미국의 지정학적 리스크 헤지의 중요한 수단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