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코인(DOGE) 파생상품 시장이 최근 극심한 매도세에 영향을 받아 청산 불균형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10일 시작된 급격한 하락장에서 도지코인 롱 포지션에서만 약 181만 달러, 한화로 약 25억 1,590만 원이 청산된 반면, 숏 포지션 청산 규모는 약 10만 8,740달러, 즉 1억 5,118만 원에 불과하여 1,565%에 달하는 극단적인 청산 격차가 나타났다.
코잉글래스(Coinglass)의 보고서에 따르면 도지코인을 둘러싼 극단적인 변동성과 레버리지 과잉이 맞물리며 손실 리스크가 급증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장 구조는 공매도 투자자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하락 국면에서 강세장 회복은 여전히 쉽지 않은 전망이다.
또한, 리플(Ripple)의 법률책임자 스튜어트 알데로티(Stuart Alderoty)는 최근 XRP와 리플의 구조적 차이를 명확히 하며, XRP는 CEO 없는 탈중앙화 자산으로, 리플은 브래드 갈링하우스(Brad Garlinghouse) CEO가 이끄는 중앙 집중형 기업임을 밝혀 주목을 받았다. XRP는 2012년에 출범한 오픈소스 기반 퍼블릭 블록체인인 ‘XRP 레저’를 기반으로 하여, 누구나 언제든지 참여할 수 있는 비허가형 네트워크로 운영되고 있다.
그에 비해 리플은 결제 인프라 기업으로, 특정 인물의 리더십 아래 운영된다. 알데로티의 이러한 설명은 “비트코인에는 CEO가 없다”는 내용으로 가상자산의 독립성을 강조한 미국 국가암호화폐협회(National Cryptocurrency Association)의 논의에 대한 응답으로 나타났다. 그는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에이다(ADA) 역시 CEO 없이 운영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비트코인(BTC) 커뮤니티 내에서는 ‘코어 v30’ 버전 업그레이드를 둘러싼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야누아리우스(JAN3)의 CEO인 샘슨 모우(Samson Mow)는 “가장 위험한 공격은 그것이 공격인 줄 모를 때 발생한다”라는 발언으로 이슈의 심각성을 경각심을 줬다. 그는 현재 기술적 논쟁이 비트코인 개선으로 포장되지만, 자산에 대한 신뢰를 서서히 무너뜨리는 침투 노력일 수 있다고 경고했다. 또한, 일반적인 해킹이나 규제와 같은 명확한 외부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은 가능하지만, 내부에서 발생하는 혼란은 더욱 위험하다고 분석했다.
결국, 도지코인의 급격한 청산, XRP 구조에 대한 오해 해소, 비트코인 커뮤니티의 내부 갈등 등이 가상자산 시장의 본질적인 신뢰와 거버넌스 문제를 고발하고 있다. 이제 투자자들이 이러한 내면의 움직임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