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가 2028년부터 무비자 여행객에 대해 입국심사 수수료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아사히신문이 보도했다. 이 수수료는 미국의 전자여행허가제(ESTA)를 참고하여 설정될 것으로 예상되며, 여행객들은 일본에 입국하기 전 온라인으로 성명과 체류 목적 등을 신고해야 한다. 이 과정은 일본에서의 불법 체류를 방지하고, 사전 심사를 통해 입국 여부를 결정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전자도항인증제도(JESTA)’라는 명칭으로 적용될 시스템이 도입될 예정이며, 이는 미국의 ESTA와 유사하게 운영된다. ESTA는 관광 및 상용 목적의 입국을 위해 비자 없이 최대 90일간 체류가 가능한 외국인에게 적용된다. 일본의 JESTA 또한 비자 면제 국가의 여행객을 대상으로 하며, 이들이 신고한 정보에 따라 적합성을 평가하여 필요한 경우 비자를 요구하는 시스템이다.
일본 정부는 이와 같은 수수료를 부과함으로써 국가의 안전을 강화하고, 입국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려 하고 있다. 구체적인 수수료 금액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지만, 미국의 ESTA 수수료가 40달러인 점을 참고하여 비슷한 수준에서 책정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이러한 변화는 일본을 방문하고자 하는 외국인 여행객에게는 일부 부담이 될 수 있으나, 안전하고 관리가 잘 되는 입국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이기도 하다. 특히, 매년 일본을 찾는 관광객 수가 급증함에 따라 효과적인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더욱 커진 상황이다.
결국 JESTA 도입은 일본의 관광 산업과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무비자 입국자들의 안전과 일본 내 법적 규범 준수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일본 정부는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글로벌 관광 시장에 맞춘 선진적인 입국 절차를 도입함으로써, 관광업 발전에도 기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