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이 중요한 심리적 저항선인 12만 6,000달러를 돌파한 직후, 암호화폐 시장은 극심한 변동성을 겪으며 큰 폭락을 경험했다. 금요일 하루 동안 시장에서 약 190억 달러, 즉 한화로는 약 26조 4,100억 원 규모의 강제 청산 사태가 발생하며 역대 최대 규모의 폭락을 기록했다. 이는 2022년 FTX 붕괴 당시를 넘어서는 손실로, 암호화폐 시장의 성장이 이루어졌음에도 여전히 얼마나 취약한지를 뚜렷하게 보여주는 사건이다.
폭락의 기폭제는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발언이었다. 블룸버그 등의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는 중국의 수출 규제를 잘못 해석하여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했고, 이로 인해 위험 자산 전반이 큰 폭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암호화폐 시장 또한 이러한 전반적인 하락세에 영향을 받아 급격한 가격 하락이 이어졌으며, 이 과정에서 일부 거래소에서는 기술적 오류로 인해 토큰 가격이 0으로 표기되는 현상도 발생했다. 이로 인해 많은 투자자들이 수년간의 수익을 순식간에 잃었다고 호소하고 있다.
이번 사태에서는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바이낸스가 다시 한 번 주목받고 있다. 바이낸스는 즉시 피해 구제 프로그램을 발표하여 신뢰 회복에 나섰다. 총 4억 달러 규모로 책정된 이 구제 조치는 3억 달러 상당의 토큰 바우처와 1억 달러 규모의 저금리 대출 기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10월 10일 금요일 0시(UTC 기준)부터 토요일 23시 59분 사이에 파생상품 또는 마진 거래에서 청산 피해를 입은 사용자들에게 지급될 예정이다.
그러나 바이낸스는 이번 조치가 이용자 손실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분명히 밝혔다. 이로 인해 일부 사용자들 사이에서는 불만이 여전히 제기되고 있으며, 거래소의 인터페이스 버그와 시스템 오류로 인해 포지션을 제때 정리하지 못한 사례들이 속출하고 있다.
또한, 이번 시장 혼란 중에 에테나(ENA)의 스테이블코인인 USDe가 일시적으로 페깅을 잃은 사건도 발생하여 바이낸스를 더욱 곤란하게 만들고 있다. 이는 거래소와 관련된 스마트 컨트랙트의 취약점이 드러나면서 시장 혼란을 가중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사건은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치적 발언이 암호 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여실히 드러내며, 동시에 거래소의 대응 능력, 리스크 관리 시스템, 그리고 기술적 완성도에 대한 재점검 필요성을 일깨우는 계기가 되었다. 시장의 민감성과 불안정성을 재인식하게 만드는 중요한 사건이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