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리퀴드, 수수료 수익 1,600% 상승…탈중앙화 파생상품 시장에서 부상

[email protected]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가 지난 1년 동안 거래 수수료와 거래량 면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의 시장 강자들을 제치며 탈중앙화 금융(DeFi) 생태계에서 독보적인 입지를 다지고 있다. 하이퍼리퀴드는 최근 1년간 수수료 수익이 무려 1,600% 증가하며 블록체인 기반 거래소에서 수익 구조의 최상위에 올라섰고, 특히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Perpetual DEX)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크립토랭크(CryptoRank)에 따르면, 하이퍼리퀴드는 2024년 10월에 240만 달러(약 33억 3,600만 원)였던 수수료가 2025년 10월 기준으로 4,100만 달러(약 569억 9,000만 원)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증은 하이퍼리퀴드가 발의한 HIP-3 제안서를 통해 무허가형 파생상품의 확대와 함께 전략적인 수수료 인하를 시행한 결과로, 이는 거래량 증가로 이어졌다.

이에 반해, 이더리움은 같은 기간 수수료가 2,160만 달러(약 300억 2,000만 원)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고, 솔라나(SOL)도 3,400만 달러에서 6,600만 달러(약 91억 7,400만 원)로 약 34%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최근 밈코인 열풍이 식으면서 이용자들이 더 빠르고 경제적인 대안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한 결과로 해석된다.

하이퍼리퀴드는 2025년 2분기 동안 6,480억 달러(약 901조 2,000억 원)의 거래량을 기록하며, 12개월 누적 거래량이 1조 5,700억 달러(약 2경 1,823조 원)에 달했다. 해당 기간 동안 수익은 3억 달러(약 4,170억 원)를 넘어섰으며, 탈중앙화 파생상품 거래소 시장 점유율은 60%를 초과해 2위와 무려 10배의 차이를 보였다. 물론 BNB체인이나 베이스와 같은 다른 플랫폼들도 성장세를 보였지만, 하이퍼리퀴드의 상승세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이러한 성장은 지난해 말에 시행된 HYPE 토큰 에어드롭과 공정하게 설계된 보상 포인트 시스템 덕분이다. 유명 트레이더 제임스 윈(James Wynn)의 참여도 하이퍼리퀴드의 인지도를 높이는 데 기여했으며, HYPE의 토큰 소각 프로그램도 가격 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일부 전문가는 하이퍼리퀴드가 솔라나의 고액 사용자를 흡수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하지만 최근 HYPE 토큰 가격은 조정을 겪고 있다. 10월 초 45달러를 넘었던 HYPE 가격은 11일을 기점으로 급락하여 17일 기준으로 34.2달러(약 4만 7,538원)로 떨어지며, 월간 기준으로 38.36%의 하락률을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반적인 암호화폐 시장의 약세와 밀접하게 연관된 상황으로 해석된다.

결론적으로 하이퍼리퀴드는 기존 블록체인 경제 흐름에 큰 변화를 주며 새로운 도약을 이루었지만, 시장에서 지속적인 관심과 토큰 수급의 균형이 중요하다는 과제가 남았다. 앞으로 퍼미션리스 파생상품 플랫폼 간의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며, 하이퍼리퀴드가 현재의 선두 자리를 유지할 수 있을지가 주목받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