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에도 불구하고 장수 가능성, 강한 악력이 비만 위험 줄인다

[email protected]



최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 페닝턴 생의학연구소의 연구에 따르면, 악력이 강한 사람일수록 비만으로 인한 신체 기능 저하 및 사망 위험이 낮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 연구는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의 9만 명 이상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진행되었으며, 미국내분비학회가 발간하는 임상 내분비학 및 대사 저널(JCEM)에 21일 발표됐다.

연구팀은 비만 전단계인 ‘전임상 비만(preclinical obesity)’과 악력 간의 관계를 심도 있게 분석하였다. 전임상 비만은 비만으로 인한 대사 이상이 발생하기 전, 체질량지수(BMI)와 복부 비만 지표들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상태를 의미한다. 연구진은 비만 전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신체 기능 이상과 이로 인한 사망 경로를 세 단계로 나누어 다단계 모형(multistate model)을 적용하여 심층 분석을 수행했다.

또한, 연구 참가자들은 악력 수준에 따라 상·중·하 세 그룹으로 나뉘어 비만으로 인한 장기 기능 손상과 사망 위험이 분석되었다. 13년 4개월 간의 추적조사 결과, 악력이 표준편차 1단위(약 10~12㎏) 증가할 때마다 비만으로 인한 장기 손상이 발생할 위험이 약 14%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상적인 신체 기능에서 첫 기능 이상으로 진행하는 초기 단계에서의 위험 감소 폭이 가장 크게 확인되었다.

악력 상위 3분위 그룹은 하위 그룹에 비해 모든 단계에서 질병의 진행과 사망 위험이 현저히 낮았다. 기능 이상이 두 가지 이상 나타나는 고위험 단계에서 사망으로 이어지는 구간에서는 악력의 보호 효과가 가장 두드러졌다. 이러한 경향은 근육량, 제지방량 및 체중 대비 근육 비율 등을 이용한 민감도 검증에서도 동일하게 확인되었다.

연구팀은 “악력이 강할수록 비만으로 인한 기능 이상 진행과 다원인 사망 위험이 유의미하게 낮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전임상 비만 단계에서 근육량과 근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분명히 보여준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연구는 비만 관리에 있어 단순한 체중 감량 뿐만 아니라, 근력 강화를 통한 건강 증진의 필요성을 한층 더 부각시키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