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nB “비트코인 4년 주기 이론은 잘못된 관념… 새로운 시장 사이클 도래 가능성”

[email protected]



비트코인(BTC)의 가격이 4년 주기마다 변동한다고 알려진 ‘4년 주기 이론’에 대해, 해당 이론을 처음 제안한 PlanB조차 이 같은 기존 통념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는 최근 소셜 미디어를 통해 이 이론에 대한 집착이 ‘커다란 오해’라고 지적하며, 시장의 변화를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PlanB는 현재 곰(Bear) 시장의 세력이 비트코인이 12만 6,000달러(약 1억 7,514만 원)를 정점으로 둔 상태에서, 다시 10만 달러(약 1억 3,900만 원) 이하로 하락할 것이며, 2026년에도 약세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측한다. 그는 하지만 이러한 예측이 지나치게 단순화된 해석이라고 설명했다. 세 번의 반감기 사이클을 참고하며, 단지 세 번의 데이터만으로 강력한 패턴이라고 단정짓는 것은 무리라는 주장이다.

그는 또한 과거의 사이클에서 반감기 이후 약 18개월 정도가 지나면 최고점에 도달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번 사이클은 다를 수 있다고 밝혔다. PlanB는 현재 가격 상승의 고점이 2026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27년이나 2028년이 될 가능성도 있다고 강조했다. 따라서 중요한 것은 상단이나 하단의 가격이 아니라, 평균 가격이 얼마나 높아지는지라는 그의 의견이 돋보인다.

그는 “이번 주기 동안 비트코인의 본질적인 변곡점은 아직 도달하지 않았다”며, ‘기관투자자 중심의 안정적인 가격 구조’로의 진입 가능성을 열어두거나, 또는 아직 큰 도약이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어느 경우든 비트코인에 대해 긍정적인 시나리오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PlanB의 회의적인 시각은 업계에서도 지지를 받고 있다. 온체인 분석가 윌리 우(Willy Woo)는 전통적인 강세장을 이끌었던 유동성이 주로 파생상품 시장에서 발생한 반면, 이번 사이클은 현물 중심의 장기 자금이 시장을 지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현재 사이클은 뚜렷이 이전과 다르며, 단기 유동성은 줄어든 반면 장기 유동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비트코인이 10만 4,000달러(약 1억 4,456만 원) 미만으로 떨어지며 일부 투자자들은 약세장이 도래했다고 우려하며 손절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 ‘Rekt Capital’은 현재 시장에서 가격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고 있는 점을 강조하며, 이 같은 경향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비트코인은 21일 아시아 시간으로 오전 중 10만 7,700달러(약 1억 4,960만 원)에서 하락세를 보이며 심리적 지지선인 10만 8,000달러(약 1억 5,012만 원) 근처에서 저항을 받고 있다.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으며, 확고한 펀더멘털 없이는 반등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암호화폐 시장의 변화는 단순한 주기로 가격을 예측하는 기존의 접근 방식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PlanB는 결국 “이번 시장은 단순한 반복이 아니라 새로운 국면일 수 있다”며 투자자들에게 시각 전환을 촉구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