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갈등이 완화될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글로벌 금융시장이 일시적으로 안정을 찾고 있다. 암호화폐 전문 리서치 기업 에이엠매니지먼트(AM Management)는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대중국 관세 완화 발언이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를 제공했음에도 불구하고, 변동성 확대 리스크와 불확실한 협상 일정, 미국 정부의 셧다운 장기화로 인해 시장이 여전히 압박받고 있다고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걱정하지 말라”는 발언과 함께, 시진핑 주석에게 긍정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며 100% 관세 방침에서 한 발 물러섰다. 이와 함께 미국 재무장관도 양국 간 실무 협상 재개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며 일정 부분 긴장을 완화했다. 그러나 이러한 발언이 실제 정책 변화로 이어지지 않는 한, 시장은 이를 단기적 반등의 재료로만 해석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 셧다운 사태의 장기화는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소비자 물가지수(CPI), 생산자 물가지수(PPI), 소매판매 등 주요 경제 지표 발표가 연기되면서, 시장은 데이터 기반 판단을 내릴 수 없는 ‘데이터 공백(Data Void)’ 상태에 빠졌다. 이러한 불확실한 상황 속에서 연준(Fed)의 정책 결정은 정치적 발언 및 주변 뉴스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한계에 직면했다. 에이엠매니지먼트에 따르면, 10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미국 기준금리가 375~400bp로 조정될 가능성은 99%로 높아졌으며, 12월 FOMC에서는 93.9%로 유지되어 추가 금리 인하가 사실상 기정사실화된 것으로 평가된다.
암호화폐 시장 또한 이러한 불확실성 속에서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비트코인(BTC)은 주간 기준 6.41% 하락하며 10만 7,759달러에 거래를 마감했고, 글로벌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주 대비 6.71% 감소한 3.61조 달러로 집계되었다. 주목할 점은 자산 간 유동성 재편에 있다. 비트코인 ETF는 여전히 순유입 기조를 유지하는 반면, 이더리움(ETH) ETF에서는 약 4억 2천만 달러의 순유출이 발생하여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 중심으로 포지션을 재조정하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가격 측면에서 살펴보면, 비트코인은 중장기 상승 추세선을 이탈하며 변곡점을 겪고 있다. 현재 비트코인 가격은 장기 이동평균선 근처에 위치하고 있으며, 10만 2,000달러가 최종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구간이 유지된다면 반등 모멘텀을 회복할 가능성이 있지만, 이탈할 경우 중장기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경고도 뒤따르고 있다. 반면 알트코인 시장은 명확한 하방 추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도미넌스의 고점 전환 신호가 나타나기 전까지는 보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결론적으로, 현재 시장의 흐름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이라는 단기적인 정책 요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미중 협상 재개 또는 셧다운 종료와 같은 실질적인 진전이 없이는 확실한 추세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현재 시점에서는 정책 변화 가능성과 경제지표의 정상화를 꾸준히 점검하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평가된다. 에이엠매니지먼트는 특정 메이저 코인을 중심으로 실적 및 자금 흐름을 모니터링하며, 시장 재편에 발맞춘 전략적 접근이 필요